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총류

  • 개작과 검열의 사회·문화사 2

    저자 김영애, 강영미, 강진호, 김준현, 문한별, 유임하, 이주성, 장영미, 조은정, 홍창수
    정가 49000원

상세정보

〈개작과 검열의 사회 문화사〉는 단편적인 차원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던 개작 연구의 차원을 끌어올려 유기적인 연구 성과를 제출하고, 개작과 검열의 상관관계를 통해 개작의 사회·문화사를 일관성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여, 연구 대상 시기 사회·문화사를 개작·검열의 양상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체적으로 재구할 수 있는 실마리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 결과이다. 지난 2년 간 이러한 주제로 여러 공동연구원들이 문학 장르별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이 책은 그러한 연구의 결실이자 출발이라 할 수 있다.

 

  • 〈제1부〉 해방 이후 검열과 개작의 메커니즘 -소설
    제1장 이무영 소설 「향가」의 개작과 검열 연구
    제2장 1949년의 황순원, 전향과 「기러기」재독
    제3장 개작의 심미화와 작가주의 신화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제4장 반공의 규율과 자기검열의 서사
    - 이병주의 「소설·알렉산드리아」와 「그해 5월」의 경우
    제5장 조해일 장편소설 「겨울여자」의 개작 방향과 검열 우회의 의미
    제6장 「일년」의 검열과 개작

    〈제2부〉 해방 이후 검열과 개작의 메커니즘 -시, 희곡, 비평, 아동문학
    제1장 검열의 흔적 지우기
    - 채동선 작곡·정지용 시의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제2장 단정수립 후 문학 장의 변화와 이헌구의 문단 회고
    - 자기검열과 자기서사의 재구성 양상을 중심으로
    제3장 「조선동요백곡집」의 개사 양상 연구
    - 초판본(1929·1933)과 개작본(1964)을 중심으로
    제4장 검열과 언론 통제와 글쓰기 문화
    - 마해송의 「모래알 고금」을 중심으로
    제5장 극작가 오태영 희곡의 검열과 개작
    - 희곡 「난조유사」와 개작 공연본 「임금알」을 중심으로

    〈부록〉
    부록 1 아르코예술기록원 심의대본 목록
    부록 2 해방 이후 검열·개작 연구 목록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