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작과 검열의 사회 문화사〉는 단편적인 차원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던 개작 연구의 차원을 끌어올려 유기적인 연구 성과를 제출하고, 개작과 검열의 상관관계를 통해 개작의 사회·문화사를 일관성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여, 연구 대상 시기 사회·문화사를 개작·검열의 양상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체적으로 재구할 수 있는 실마리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 결과이다. 지난 2년 간 이러한 주제로 여러 공동연구원들이 문학 장르별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이 책은 그러한 연구의 결실이자 출발이라 할 수 있다.
- 〈제1부〉 해방 이후 검열과 개작의 메커니즘 -소설
제1장 이무영 소설 「향가」의 개작과 검열 연구
제2장 1949년의 황순원, 전향과 「기러기」재독
제3장 개작의 심미화와 작가주의 신화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
제4장 반공의 규율과 자기검열의 서사
- 이병주의 「소설·알렉산드리아」와 「그해 5월」의 경우
제5장 조해일 장편소설 「겨울여자」의 개작 방향과 검열 우회의 의미
제6장 「일년」의 검열과 개작
〈제2부〉 해방 이후 검열과 개작의 메커니즘 -시, 희곡, 비평, 아동문학
제1장 검열의 흔적 지우기
- 채동선 작곡·정지용 시의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제2장 단정수립 후 문학 장의 변화와 이헌구의 문단 회고
- 자기검열과 자기서사의 재구성 양상을 중심으로
제3장 「조선동요백곡집」의 개사 양상 연구
- 초판본(1929·1933)과 개작본(1964)을 중심으로
제4장 검열과 언론 통제와 글쓰기 문화
- 마해송의 「모래알 고금」을 중심으로
제5장 극작가 오태영 희곡의 검열과 개작
- 희곡 「난조유사」와 개작 공연본 「임금알」을 중심으로
〈부록〉
부록 1 아르코예술기록원 심의대본 목록
부록 2 해방 이후 검열·개작 연구 목록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