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상세정보
- 제1장 단군신화의 일원화 -[부정]과 [배제]
1.머리말
2.텍스트로 전승된 단군신화
3.단군신화의 '부정'과 '배제'
4.'부정의 부정'과 '배제의 재생산' -최남선의 단군연구
5.근대의 '단군'-'민족'과 '제국'의 근원
6.맺는 말
제2장 한국 신화학의 [자기 식민지화] 과정
1.머리말
2.해방 이후 단군신화 연구-공동환상의 창출
3.역사 교과서에 기술된 단군-환상의 공유
4.'부정'과 '배제'를 통한 삼국 유사
5.맺는말
제3장 [단군]기술에 보이는 복수의 고대
1.머리말-복수의 고대와 현실 역사의 개념
2.[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단군]구현 양상
3.[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기술방식 차이 -왕건 탄생 설화를 둘러싸고
4.복수의 고대상 창출
5.맺음말
제4장 신화 기술의 다양성과 신화의 의미
1.머리말
2.중국 사서에 보이는 <동명-주몽>신화의 기술
3.광개토왕 비문의 주몽신화와 제국적 세계관
4.신화의 일원화-<동명-주몽신화>
5.맺는 말
제5장 모모타로우에 나타난 모방적 욕망과 공동체의 형성
1.머리말
2.모모타로우를 통한 일본 민족의 틍성
3.모모타로우 탄생의 우연성과 욕망의 발생
4.모모타로우의 탄생의 우연성과 욕망의 발생
5.모방적 욕망과 공동체의 탄생
6.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