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화의 뒷풍경』. 이 책은 가전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다양한 소재와 작가, 작품을 동원하여 찬찬히 설명해주고, 다른 문학 갈래와 가전이 맺는 관계망까지 소상하게 밝히고 있다. 이야기 뒤에 자기 투영ㆍ교훈ㆍ풍자 등을 두루 포용하고 있는 우화문학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제1부 가전과 그 주변
-
프롤로그
*가전과 유서
한중 술 가전의 소재 찾기
: 진관秦觀 / <청화선생전淸和先生傳> 당경唐庚 / <육서전陸?傳>
임춘林椿 / <국순전麴醇傳> 이규보李奎報 / <국선생전麴先生傳>
최연崔演 / <국수재전麴秀才傳> 김득신金得臣 / <환백장군전歡伯將軍傳>
박윤묵朴允 / <국청전麴淸傳>
꽃의 가전과 유서
: 김수항金壽恒/<화왕전花王傳>
문방사우 가전과 유서
: 박윤묵朴允/ <저백전楮白傳> · <모원봉전毛元鋒傳>
<진현전陳玄傳> · <석탄중전石坦中傳>
*가전과 소설
가전의 발달과 소설적 접근
가전의 소설사적 위치
*가전과 묘지명
가전과 묘지명
附: 김일손金馹孫 /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
윤광계尹光啓 / 옹후묘지명雍侯墓誌銘
제2부 우화 가전 읽기
신생 장르에 대한 잡박 논쟁
: 한 유韓 愈/<모영전毛穎傳> · <하비후혁화전下 侯革華傳>
벼루 마니아의 흡주연 이야기
: 소 식蘇 軾/<만석나문전萬石君羅文傳>
실의와 곤궁이 빚어낸 술과 돈의 사색
: 임 춘林 椿/<국순전麴醇傳> · <공방전孔方傳>
술 · 거북 열전을 쓴 동기와 시기
: 이규보李奎報/<국선생전麴先生傳> ·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
불멸의 종이, 그 久遠의 파노라마
: 이 첨李 詹/<저생전楮生傳>
게를 통해 본 묵시적 자아 및 현실인식
: 권 필權 /<곽삭전郭索傳>
절구공이에 비친 전란의 그림자
: 윤광계尹光啓/<저군전杵君傳>
술과 부채에 실은 풍정
: 김득신金得臣/<환백장군전歡伯將軍傳> · <청풍선생전淸風先生傳>
호랑이로 일깨우는 군주의 길
: 최효건崔孝騫/<산군전山君傳>
고양이가 이룩한 민생의 이로움
: 조구명趙龜命/<오원자전烏圓子傳>
게의 인격성을 극대화한 미학적 변모
: 곽복형郭福衡/<오중개사곽선생전吳中介士郭先生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