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고전서사문학의 계보

    저자 허원기
    정가 11000원

상세정보

『고전서사문학의 계보』는 우리 서사문학사의 거시적인 흐름과 그 중심 계보를 정리한 것이다. 신화, 전설, 민담, 전기 등 그 개념과 형성과정, 특징 등을 살펴본다.

 

  • 신화, 그 신성하고 숭고한 이야기
    1: 신화(神話)의 개념
    2: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3: 사람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4: 문화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5: 신화는 계속되는가?
    6: 어떤 사람이 신성한 사람인가?

    전설, 기이한 진실을 추구하는 이야기
    1: 전설(傳說)의 개념
    2: 전설은 왜 생기는가?
    3: 전설의 모양새
    4: 전설이 의미하는 것들 몇 가지
    5: 전설의 미적 특질

    민담, 세속적 가치와 흥미를 추구하는 이야기
    1: 민담(民譚)의 개념
    2: 민담의 종류
    3: 민담의 사례
    4: 민담의 구조와 의미
    5: 민담의 빈자리

    전기/우언/가전, 중세적 필담의 길 찾기
    1: 말로 하는 이야기와 글로 하는 이야기
    2: 전기(傳奇)
    3: 우언(寓言)
    4: 가전(假傳)
    5: 구전설화와 문예취향

    전기소설, 일상과 환상의 교차점
    1: 소설의 탄생과 전기(傳奇)소설
    2: 중요 작품들과 그 내용
    3: 전기적 인간의 미적 특질
    4: 전기소설의 또 다른 특성은 현실성에 있다

    영웅소설, 승리하는 인간의 조건들
    1: 영웅소설의 개념
    2: 영웅의 일대기
    3: 영웅소설의 세계관과 사상적 배경
    4: 영웅소설의 현대적 변용과 영웅의 의미

    가정소설/윤리소설/이상소설, 중세적 삶의 미학
    1: 중세인의 삶을 찾아서
    2: 가족 중심의 삶
    3: 정리(情理)의 합리성
    4: 내재적 초월

    풍자소설: 근대적 인간의 탄생
    1: 풍자와 풍자소설
    2: 연암의 풍자소설
    3: 이옥의 문학과 풍자
    4: 서민적 풍자소설
    5: 근대 지향의 세 방향

    판소리, 서민들이 이룩한 사상과 미학
    1: 판소리가 남긴 유전자
    2: 판소리의 개념
    3: 울리고 웃기기의 심성 미학
    4: 대동의 놀이와 잔치 형식
    5: 장부론(臟腑論)과 생명지향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