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은 작품의 비판적 읽기를 통한 가치평가에 그 본래의 목적이 있다. 문학 작품은 미적으로 형상화되는 것이기에 늘 빈자리가 있고, 비평은 그 빈자리를 노려 목적을 완수하려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서 “비평의 빈자리와 존재 현실”은 “농민시”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농민시의 좌표’를 시작으로 1984년 작고한 김종삼 시인과의 새로운 인연으로 하여 그의 빈자리를 찾아, ‘김종삼 시의 빈자리와 디아스포라’, ‘심미성과 인생탐구’ 등을 제2부와 제3부로 나눠 실었다. 특히 제3부는 시가 가지고 있는 놀이문학으로서의 심미성이 만드는 빈자리를 찾으면서 공광규, 양채영, 황봉, 이재호 등의 시에서 인생탐구의 빛을 함께 찾아 앉혔다. 제4부인 ‘역사와 존재 현실’에서는 통일, 전쟁 등과 관련된 문학의 역사적 빈자리를 찾아 거기에 존재하는 인간의 현실을 검토하면서 장석주, 김수영, 김시헌, 김영헌 등의 작품을 살폈다.
- [제1부] 농민시의 좌표
제1장 개화기 농민시의 화자와 시의식 고찰
제2장 농민시에 나타난 여성상(女性像) 연구
제3장 신경림의 “농무”연구 -농민시적 성격을 중심으로
제4장 홍일선의 농민시에 나타난 ‘땅’에 관한 고찰
제5장 ‘낙동강’의 시인 양우정(梁雨庭)
제6장 정호승(鄭昊昇) 되찾기의 겉과 속
[제2부] 김종삼 시의 빈자리와 디아스포라
제1장 김종삼 시의 건너뜀과 빈자리
제2장 김종삼 시의 ‘서정적 자아’와 분단의식
제3장 김종삼 시의 ‘셀프 아키타입’ 양상
제4장 김종삼 시비 이전에 담긴 뜻
[제3부] 심미성과 인생탐구
제1장 공광규의 담장 허물기 놀이
제2장 형식이 빚어내는 심미성
제3장 놀이 시학
제4장 시론에서의 ‘모호성’과 ‘애매성’의 개념착종에 관한 고찰
제5장 양채영(梁彩英) 시의 순수 이미지와 우주적 통합
제6장 진정성으로서의 삶과 문학 -황봉의 시세계
제7장 이재호 시인의 삶과 시세계
[제4부] 역사와 존재 현실
제1장 통일과 한국 문학
제2장 전쟁문학, 그 사랑의 역설
제3장 당위의 갈등 그리고 융합
제4장 점이지대의 변주곡 -장석주 ‘간장 달이는 냄새가 진동하는 저녁’, 김수영 ‘오랜 밤 이야기’
제5장 영원을 향한 자연과 인생의 합주 -김시헌론
제6장 바다에서 건져 올린 체험적 삶의 반영 -김영헌의 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