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은 우리 시사에서 매우 특이한 이력을 가진 시인이다. 그런 특이성은 그의 시사적 위치에서 기인하는데, 우선 그는 근대시의 한 영역인 모더니즘에서 남다른 발자취를 보여주었다. 정지용을 가장 근대적인 시인이라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행적은 모더니스트로서의 이력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근대의 격렬한 모험들은 그로 하여금 전연 색다른 길로 인도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도정을 식민지적 특수성의 음역에서 설명할 수도 있고, 정지용 자신만의 개성에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지용이 응시한 근대풍경은 지극히 토속적인 데에서 출발했다. 그것은 가부장제적인 것에서 오기도 했고 원초적인 것에서 오기도 했다. 그러한 과거지향성이 그의 시의 뿌리이자 방향이었다. 정지용의 그러한 토대의식들은 매우 뿌리 깊은 것이어서 해방이라는 격랑도 이를 분산시키거나 흩뜨리지 못했다. 그가 필생의 과업으로 인식했던 민족주의와 그것의 승리에 대한 기대가 견고했던 것도 그 뿌리의 깊이에서 길러진 것이었다. 지금 여기의 혼돈된 현실에서 그의 사상이 여전히 의미 있는 것은 현재진행형으로 지속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 때문이다. 뿌리는 그의 토양이면서 나의 토양이었고, 우리 민족의 토양이었다. 그렇기에 그것은 정지용만이 갖는 근대성의 특수한 국면이었던 것이고 한국 모더니즘의 특수한 국면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 제1장 민요시와 새로운 시정신의 모색
1. 근대 시형에 대한 모색과 정지용의 선택
2. 민요의 수용과 근대성 혹은 반근대성의 문제
3. 땅 혹은 토속에 대한 그리움
제2장 경도 체험과 민족 사상의 형성
1. 교토와 정지용
2. 근대로 나아가는 길-과학에의 경도와 엑조티시즘
3. 옥천의 실개천과 교토의 압천
4. 근대의 특수한 형식-민족주의
제3장 ?향수?와 영원한 그리움의 세계
1. 고향의 근대적 의미
2. 귀속과 일탈로서의 고향
3. 매개항으로서의 ?향수?
제4장 근대에 대한 탐색과 바다에의 여정
1. 바다와 근대
2. 정지용과 계몽의 문제
3. 정지용 시에서 바다의 세가지 의미
4. 정지용 시에서 바다의 의미
제5장 가톨릭시즘에의 경도와 임화, 그리고 김기림
1. 가톨릭시즘과 정지용
2. 가톨릭시즘에 대한 평가와 오해
3. 종교시의 세가지 형태
4. 유토피아로서의 역사 찾기
5. 정지용 시에서의 가톨릭시즘의 향방
제6장 산행체험과『백록담』의 세계
1. 산행(山行)의 자리
2. 바다의 조망과 山의 위용 사이
3. 회복된 영원성의 세계
4. 자연-새로운 근대성을 위하여
제7장『문장』과 정지용
1.『문장』의 등장과 고전파의 활약
2. 정지용과『문장』
3. 인식과 통합으로서의 자연
4. 가람과 청록파, 그리고 정지용의 시세계
제8장 해방공간의 이념선택과 민족문학에의 길
1. 해방시단과 정지용의 위치
2. 민족문학의 길과 시의 방향
3. 이념선택의 방향과 민족주의의 선택
4. 해방의 좌절과 민족문학 건설의 중단
5. 민족주의 민족문학 건설의 행방, 그리고 현재적 의의
《에필로그》
《부록》
정지용의 작품 연보
정지용 연구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