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저자 최배은
    정가 31000원

상세정보

청소년소설 연구는 새롭게 개척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론적 토대가 약하고 그 대상 작품과 작가에 대한 사항도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 따라서 청소년소설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의 ‘청소년’과 ‘청소년소설’의 형성 및 그 실상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와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이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과정과 특성을 밝힌다.
둘째, 한국 근대 ‘청소년’ 담론에 나타난 사상과 당대의 사회 이념을 바탕으로 ‘청소년소설’의 의미구조를 이념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셋째, 일제 강점기 청소년소설을 최대한 모으고 분류하여 근대 청소년소설 자료를 정리한다.
근대 문학 초기에 ‘소년’의 등장 자체가 근대성을 드러내는 징표로서 중요한 의미를 띠는데, 이 ‘소년’에는 여기서의 ‘청소년’이 포함된다. 이 ‘소년’은 근대 문학 형성과정에서 과도기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14 1920년대부터 구체화되고 분화되면서 여러 줄기의 문학적 형태와 관련을 맺는다. 1920-1930년대에 주로 ‘소년소설’15로 불리었던 청소년소설은 바로 그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이제까지 소홀히 취급되었던 근대 소설사의 한 줄기를 드러내는 작업이라는 점에 그 궁극적 의의가 있다.
본서의 서론에서는 청소년문학의 개념 및 연구 목표와 방법을, 2장에서는 청소년과 청소년소설의 형성 배경을 밝혀 놓았다. 3장에 서는 근대 청소년소설 전반의 구조적 특징과 그러한 구조가 형성된 원인을 작가 및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역사적 맥락에서 근대 청소년소설의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였고 결론에서 전체 논의를 요약하고 더 필요한 연구를 제언하였다.

 

  • [제Ⅰ장] 서론
    0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표
    02. 청소년소설의 개념 및 기존 연구 검토
    2.1. 청소년소설의 개념
    2.2. 기존 연구 검토
    03. 연구 대상과 방법

    [제Ⅱ장] 근대 ‘청소년’과 ‘청소년소설’의 형성
    01. ‘청소년’의 형성
    1.1. 용어와 범주
    1.2. 관념과 이미지
    02. ‘청소년소설’의 형성
    2.1. 소년문예운동과 소년 잡지의 역할
    2.2. ‘사실’의 강조와 효용론적 문학관

    [제Ⅲ장] 근대 청소년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01. ‘희생’과 민족주의
    1.1. ‘불량소년’의 부재와 ‘희생’
    1.2. 소년애호사상과 민족주의
    02. ‘가난’과 도덕주의
    2.1. ‘부(富)’의 부재와 ‘도덕’
    2.2. 실용주의와 도덕주의
    03. ‘고아’와 가족주의
    3.1. ‘부모’의 부재와 가족
    3.2. 고아의식과 ‘효(孝)’ 사상
    04. ‘소년’과 남성중심주의
    4.1. ‘소녀’ 부재의 ‘소년’
    4.2. 여성해방사상과 남성중심주의

    [제Ⅳ장] 근대 청소년소설의 의의와 한계
    01. 민족 주체로 구성된 ‘청소년’
    1.1 민중민족주의 서사
    1.2. 한글 전용 표기와 구술성
    02. 개성화의 실패
    2.1. 봉건적 교육서사
    2.2. 소년 지도자의 공적 서술

    [제Ⅴ장] 결론
    보론: 근대 ‘소녀소설’의 ‘소녀’ 연구
    부록: 한국 근대 청소년소설 목록(1910-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