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 서유경 |
정가 | 10000원 |
상세정보
-몽금도전
이 책 <신정 심청전(몽금도전)>은 심청이 태어나는 과정 등에서 기존의 <심청전>에 비해 차별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리고 심청의 인당수 행 이후에는 파격적이라고 할 만큼 기존의 <심청전>과는 다르게 서사가 전개되고 있다. 예를 들자면, 심청의 탄생 과정에 태몽이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인 <심청전>에서는 선녀와 같은 천상의 여인이 하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신정 심청전(몽금도전)>에서는 태몽에서 선동이 나타나 심 봉사 부부가 아들 낳을 것을 기대하지만, 딸인 심청을 해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심청이 인당수에 빠진 뒤 몽금도에 도착하게 된 것이라든지, 심청과 심 봉사가 해후하게 되는 과정이 여타의 <심청전>들과는 매우 다르다. 이렇게 기존의 <심청전>과 다른 서사 전개를 보이는 <신정 심청전(몽금도전)>에서는 서술자가 하는 역할이 크다. <신정 심청전(몽금도전)> 서술 방식은 기존의 <심청전>, 나아가 일반적인 고전소설과 비교해 볼 때에도 특징적이다. 그것은 서사 전개 과정에서 사건이나 상황, 대화 등을 서술하고 나서 서술자가 개입하여 논평을 하거나 비판적으로 훈계를 하는 방식이다.
<신정 심청전(몽금도전)>의 원문을 옮기고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없도록 여러 차례 검토와 수정을 했으나 여전히 바로잡아야 할 부분이 남아 있을 것 같다. 현대어로 옮기면서 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어느 정도로 풀어쓸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원칙적으로는 원문에 충실하게 옮기려고 하였다. 그렇지만 한글만으로는 의미를 분명하게 나타내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한자를 병기하였고, 좀 생경한 어휘나 한자성어는 미주를 통해 풀이를 하거나 좀 더 편한 표현으로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