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고전 시가요의 시학과 활용

    저자 고순희
    정가 26000원

상세정보

『고전 시가요의 시학과 활용』은 총 2부로 나뉘어져 있다. 본서의 제1부 《고전 詩,歌,謠의 시학》에서는 ‘-네’로부터 출발한 문제의식과 연구 주제를 다루었다. 한시의 우리말 번역시에서 이 서술종결어 ‘-네’를 매우 많이 쓰고 있는데, 과연 민요의 특징적인 서술종결어를 한시의 번역시에서 취하고 있는 것이 합당한 것인지와, 이 ‘-네’가 한시의 우리말 번역시에 쓰이게 된 과정을 분석하고, 조선시대에 한시의 우리말 번역에서 문체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도 살펴보았다. 제2부 《가사의 시학과 활용》에서는 가사문학을 중심으로 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가사문학은 조선시대를 거쳐 1950년대까지 꾸준하게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이러한 가사 창작의 유구성이 기본적으로 가사의 담당층이 가사를 운문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가사문학이 지닌 운문으로서의 장르적 시학을 밝히기 위해 문체적 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 《제1부》 고전 詩ㆍ歌ㆍ謠의 시학
    제1장 민요 문체의 특징 -어미부 형태를 중심으로
    제2장 민요 종결어 문체 ‘-네’와 개화기 시가
    제3장 한시 번역 문체 연구(Ⅰ) -한시 번역 문체의 사적 검토
    제4장 한시 번역 문체 연구(Ⅱ) -우리 한시 번역의 성격과 번역 문체의 제문제

    《제2부》가사의 시학과 활용
    제5장 가사문학의 문체적 특성 -반복과 병렬의 문체
    제6장 가사문학의 구비적 성격
    제7장 《相思別曲》의 유구성과 표현 미학
    제8장 안동의 지역성과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지역문화 콘텐츠 제안
    제9장 가사문학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제10장 일제강점기 망명 관련 가사에 나타난 만주의 장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