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소식의 인생 역정과 사풍

    저자 류종목
    정가 27000원

상세정보

소식(蘇軾)의 사(詞)는 판본에 따라 수록되어 있는 작품 수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서 원(元)나라 연우(延祐) 7년(1320)에 섭증(葉曾)의 운간남부초당(雲間南阜草堂)에서 편찬한 《동파악부(東坡樂府)》에는 284수, 명(明)나라 사람 모진(毛晉, 1599-1659)의 급고각(汲古閣)에서 편찬한 《송육십명가사(宋六十名家詞)》본 《동파사(東坡詞)》에는 328수, 청(淸)나라 사람 주조모(朱祖謀, 1857-1931)가 편찬한 《강촌총서(疆村叢書)》본 《동파악부(東坡樂府)》에는 337수, 용유생[龍楡生, 일명 용목훈(龍沐勛), 1902-1966]이 편찬한 《동파악부전(東坡樂府箋)》에는 344수, 당규장(唐圭璋, 1901-1990)이 편찬한 《전송사(全宋詞)》본 《소식사(蘇軾詞)》에는 349수, 조수명(曹樹銘, 1904 - ? )이 편찬한 《소동파사(蘇東坡詞)》에는 319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판본은 저마다 각 작품의 창작 시기에 대한 관점에도 차이가 있어서 창작 시기를 확정하기 어려운 작품이 적지않은데 이 가운데 조수명(曹樹銘)이 편찬한 《소동파사(蘇東坡詞)》가 이전의 각종 판본을 두루 검토한 후 종합적으로 정리한 데다 자신의 견해를 보충하기도 하여, 이 연구를 시작한 1987년 현재 완성도와 신뢰도가 가장 높은 판본이라고 판단된다.

 

  • 제1장 서론
    제1절 소식의 사관(詞觀)
    제2절 사의 풍격 분류법

    제2장 항주통판(杭州通判) 시기의 사풍
    제1절 항주통판 시기의 제재별 사풍
    제2절 항주통판 시기의 총체적 사풍
    제3절 소결(小結)

    제3장 밀주(密州)·서주(徐州) 시기의 사풍
    제1절 밀주·서주 시기의 제재별 사풍
    제2절 밀주·서주 시기의 총체적 사풍
    제3절 소결(小結)

    제4장 황주유배(黃州流配) 시기의 사풍
    제1절 황주유배 시기의 제재별 사풍
    제2절 황주유배 시기의 총체적 사풍
    제3절 소결(小結)

    제5장 항주지주(杭州知州) 시기의 사풍
    제1절 항주지주 시기의 제재별 사풍
    제2절 항주지주 시기의 총체적 사풍
    제3절 소결(小結)

    제6장 영주(潁州)·양주(揚州) 시기의 사풍
    제1절 영주·양주 시기의 제재별 사풍
    제2절 영주·양주 시기의 총체적 사풍
    제3절 소결(小結)

    제7장 영해유배(嶺海流配) 시기의 사풍
    제1절 영해유배 시기의 제재별 사풍
    제2절 영해유배 시기의 총체적 사풍
    제3절 소결(小結)

    제8장 소식 사의 풍격 변천 양상
    제1절 완약사풍(婉約詞風)의 답습과 부활
    제2절 호방사풍(豪放詞風)의 창도(唱導)
    제3절 청광사풍(淸曠詞風)의 완숙(完熟)
    제4절 소결(小結)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