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1930년대 한 중 모더니즘 시의 근대성 비교연구

    저자 조평
    정가 18000원

상세정보

이 책 1930년대 한중 모더니즘 시의 근대성 비교연구는 한중 모더니스트 김광균(金光均)과 변지림(卞之林)의 30년대 시세계를 대상으로 시의 이미지와 시 의식의 모더니티, 그리고 문학관의 차원에서 시적 태도와 시작 기법의 근대성 추구 등 두 시인 시세계의 본질과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제1부〉는 서구 모더니즘 이론과 1930년 한중 모더니즘 수용 및 정착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학문의 깊이가 얕아 부끄러움이 앞선다.
특이 20세기 초의 서구문학에서 발생한 모더니즘이라는 개념은 단일한 의미로 정의하기에 난해할 정도로 매우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시가 형성된 근본적 요인이 여기에 있었다는 사실을 구명하면서 시의 본질을 재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논의로 삼을 만하다.
〈제2부〉는 이 책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시적 태도와 시작 기법에 대한 비교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영미계 모더니즘 기법을 활용한 김광균과 卞之琳의 시론을 중심으로 감상적 낭만주의의 배격과 현실비판정신, 현대적인 시어와 시형에 대한 추구, 주지적 태도와 전통의 현대화에 대한 추구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두 시인의 모더니즘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작품에 대한 비교 분석에서는 두 시인의 30년대 시작품을 대상으로 작품 속에 중점적으로 형상화된 이미지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시인의 의식세계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 〈제1부〉 근대성과 1930년대 한 ?중 모더니즘
    제1장 현대시와 모더니즘 이론
    1. 모더니티의 개념
    2. 모더니즘의 개념

    제2장 1930년대 한 중의 모더니즘 수용양상
    1. 한국에서의 모더니즘 수용 및 정착과정
    2. 중국에서의 모더니즘 수용 및 정착과정

    〈제2부〉 김광균과 卞之琳 30년대 시의 모더니티 비교 연구
    제1장 시적 태도와 시작(詩作) 기법에 대한 비교 분석
    1. 모더니즘의 시학에 대한 추구
    2. 새로운 표현 형식에 대한 추구
    3. 지성(知性)에 대한 추구

    제2장 이미지와 시 의식에 대한 비교 분석
    1. 근대적 주체로서의 타자 이미지와 죽음의식
    2. 근대적 시간으로서의 황혼 ?밤 이미지와 소멸의식
    3. 근대적 공간으로서의 도시 이미지와 현실인식

    〈결론〉
    〈부록〉 卞之琳 30년대 대표 시작품 註解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