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현실비판가사 자료 및 이본

    저자 고순희
    정가 26000원

상세정보

본서『현실비판가사 연구』에서는 현전하고 있는 현실비판가사 〈갑민가〉, 〈합강정가〉, 〈향산별곡〉, 〈거창가〉, 〈민탄가〉 등과 함께 실전 현실비판가사도 다루었다. 그리고 부록을 두어 〈태평사〉를 따로 다루었다.
〈거창가〉의 거의 모든 이본이 〈태평사〉를 내용의 전반부에 배치하고 있어 〈거창가〉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현실비판가사 자료 및 이본』에서는 현전하고 있는 현실비판가사의 이본들로, 현재까지 확인된 〈갑민가〉 2편, 〈합강정가〉 10편, 〈향산별곡〉 5편, 〈거창가〉 17편, 〈민탄가〉 1편의 이본들로 구성하였다.
〈거창가〉는 ‘거창가’ 혹은 ‘아림가’라는 제목을 달고 유통되었던 이본이 22편이나 되지만, 이 가운데 5편은 ‘거창가’라는 제목에도 불구하고 〈태평사〉 부분만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거창가〉의 본사설이 들어 있는 이본 17편만 실었다.

현실비판가사는 필자에게는 인생의 주제이다. 박사 이후 필자는 아직 읽혀지지 않았거나 연구되지 않은 가사문학 필사본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알고, 가사문학 필사본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필사본을 읽을 때 유독 필자가 관심을 두고 정리에 몰두한 것은 역사, 사회의 현실을 내용 안에 수용하고 있는 작품이었다. 그리하여 필자의 평생 연구 주제는 역사, 사회 현실에 대응한 가사문학 작품에 관한 것이 되었다. 현실비판가사가 필자의 평생 연구 주제를 결정한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실비판가사는 필자에게 인생의 주제가 아닐 수 없다.

 

 

  • 〈제1장〉 甲民歌
    1. 해동가곡본
    2. 청성잡기본

    〈제2장〉 合江亭歌
    1. 윤성근본
    2. 아악부가집본
    3. 가집본
    4. 악부본
    5. 삼족당본
    6. 전가보장본
    7. 홍길동전본
    8. 목동가본
    9. 가사소리본
    10. 쌍녀록본

    〈제3장〉 香山別曲
    1. 정재호본
    2. 강전섭본1
    3. 강전섭본2
    4. 가사소리본
    5. 만언사본

    〈제4장〉 居昌歌
    1. 이현조본A
    2. 이현조본B
    3. 임기중본A
    4. 김준영본
    5. 유탁일본A
    6. 김일근본A
    7. 김일근본B
    8. 박순호본
    9. 김현구본
    10. 소창본
    11. 연세대본
    12. 청넝결본
    13. 창악대강본
    14. 한국가사문학관본A
    15. 한국가사문학관본B
    16. 한국가사문학관본C
    17. 한국가사문학관본D

    〈제5장〉 民歎歌
    1. 유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