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화집 연구
『황화집』은 세종 32년(1450)부터 인조 11년(1633)에 이르는 180여년에 걸쳐 25차례나 조선에 파견된 명사와 조선 문사들이 창화한 시문을 수록한 문집이다. 본서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황화집』에 수록된 조명 양국 문사들의 箕子 창화 작품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통시적인 각도에서 해당 작품군에서 나타나는 양국 문사들의 箕子 인식 및 詩賦 외교 전개양상을 고찰하고 그 특질을 밝히고자 한다.
-
제1장 서론
01 | 연구 목적
02 | 선행 연구
03 |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제2장 箕子 관련 창화의 현황과 쟁점
01 | 창화 배경
02 | 창화 현황 및 담론의 추이
03 | 기자 기록의 쟁점
제3장 15세기 후반 전개 양상
01 | 시대 배경
02 | 唱和詩에 나타나는 기자 인식
03 | 唱和賦에 나타나는 서거정과 기순의 기자 인식
04 | 소결
제4장 16세기 전개 양상
01 | 시대 배경
02 | 唱和詩에 나타난 기자 인식
03 | 唱和賦에 나타난 李珥와 王敬民의 인식
04 | 소결
제5장 17세기 전반 전개 양상
01 | 시대 배경
02 | 唱和詩에 나타난 기자 인식
03 | 唱和賦에 나타난 장유와 姜曰廣의 기자 인식
04 | 소결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