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근대기 국문실기 <을사명의록>과 <학초전>

    저자 고순희
    정가 29000원

상세정보

이 책 [을사명의록]과 [학초전]은 근대기에 창작된 국문실기문학으로 신자료이다. 두 작품이 신자료이기 때문에 이 책에 원텍스트를 DB화하여 실을 필요가 있었다.
이 책의 1부는 연구편으로 [을사명의록]과 [학초전]과 관련한 논문 4편을 실었으며, 2부는 자료편으로 [을사명의록]과 [학초전]의 원텍스트를 DB화하여 실었다.

[을사명의록]은 한개마을의 한주종택을 방문하여 얻은 자료이다. 필자는 독립운동가 이승희의 부인이 쓴 가사 [감회가]와 [별한가]를 연구한 적이 있다. 그때 작가의 구체적인 생애를 알기 위해 작가의 후손이 살고 있는 한주종택을 방문했다. 이 방문을 계기로 한주종택에서 가장본으로 전해져온 [을사명의록]을 얻어 볼 수 있었는데, 놀랍게도 [을사명의록]은 아직까지 소개된 적이 없는 신자료였다.
[학초전]은 한국가사문학관의 가사 필사본을 읽다가 발견한 [경난가]를 계기로 얻은 자료이다. ‘박학초’ 작 [경난가]는 의미 있는 작품임에는 틀림이 없었으나, 작가를 구체적으로 알아야만 풀릴 수 있는 여러 의문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 사학계에서 신자료인 [학초전]을 다루는 학술대회가 열리게 되었고, 이후 필자는 후손을 통해 [학초전]의 필사본을 구해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경난가]의 의문점을 상당수 해결하여 [경난가]에 관한 논문을 진행할 수 있었으며, 국문학계에 처음으로 국문실기 [학초전]을 소개하는 논문도 쓸 수 있게 되었다

 

  • [제1부] 연구편
    제1장 근대기 국문실기 [을사명의록] 연구
    1. 머리말
    2. 자료와 작가
    3. 한문일기 [달폐일기(達?日記)]와의 비교
    4. 작품세계의 서술 양상
    5. 국문 기록 의식과 문학사적 위상
    6. 맺음말·
    제2장 근대기 [을사명의록]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과 의미
    1. 머리말
    2. [을사명의록]의 서술단락
    3. [을사명의록]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
    4. 근대계몽기 유림의 역사적 의미
    5. 맺음말
    제3장 근대기 국문실기 [학초전] 연구
    1. 머리말
    2. [학초전]의 서술단락과 작품세계
    3. [학초전]의 문학적 성격: 영웅담적 자기서사
    4. [학초전]의 문학적 의미와 문학사적 의의
    5. 맺음말
    제4장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가사문학 [경난가] 연구
    1. 머리말
    2. [경난가]의 창작 배경 및 텍스트의 정본 문제
    3. [경난가]의 작품세계
    4. [경난가]의 문학적 의미와 문학사적 의의
    5. 맺음말

    [제2부] 자료편
    제1장 [을사명의록]
    1. 을사명의록
    제2장 [鶴樵傳(학초전)]
    1. 鶴樵傳 一(책)
    2. 鶴樵傳 二(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