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고소설의 현실 인식과 서사적 형상화

    저자 김서윤
    정가 25000원

상세정보

문학은 구체적 형상화를 통해 현실을 묘사하게 마련이고, 소설에서는 인물의 행동과 서사 전개 속에 당대의 현실이 담긴다. 문학의 형상화는 이념의 틀로 단순화할 수 없는 삶의 실체를 드러냄으로써 독자에게 새로운 현실 인식의 기회를 제공한다. 고소설의 창작과 향유 또한 문학 특유의 현실 인식적 효용을 동력으로 하였을 터이다. 표방하는 바는 선악이 대조되는 도덕적인 인물 묘사와 권선징악의 서사 전개라도, 구체적 형상화의 과정에서는 그러한 관습적 인식의 틀을 벗어나는 현실의 복잡한 논리가 포착됨을 여러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덕적 인물 묘사나 서사 전개의 틀은 도리어 그것으로 환원되지 않는 현실의 변화와 혼란을 더욱 생생히 형상화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이국적 서사 세계나 천상계 등 초월적 서사 세계의 존재 또한 현실의 민감한 문제를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이 책은 고소설의 창작과 향유가 당대인들의 현실 인식과 대응에 기여하였을 지점을 탐색하고, 특히 고소설 특유의 이념적이고 환상적인 서사적 장치들이 당대의 현실 문제를 표현하고 소통하는 데 어떤 효용이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제1부에서는 당대의 급격한 사회·문화적 변화가 반영된 세 작품을 분석하여, 선악의 가치 판단이 불가능한 인물 형상과 서사 전개에서 드러나는 향유층의 혼란과 갈등을 살펴보았다. 제2부에서는 모자 관계, 부자 관계, 형제 관계 등 가족 관계의 규범을 다룬 세 작품을 분석하여 유교적 이념의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당대의 현실 문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여성 인물들 간 성격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네 작품을 분석하여, 인물들 간의 대립과 충돌을 통해 드러나는 바 당대 여성이 처한 갈등과 불안의 상황을 탐색하고 이들이 소설을 통해 소통하고자 한 삶의 문제를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 [제1부 향유층의 시대적 상황과 고소설]
    제1장 [쌍녈옥소록]의 정난지변 서술시각과 그 시대적 의미
    1. 서론
    2. [쌍녈옥소록]의 정난지변 서술시각
    3. 18세기 사족 집단의 정치적 상황과 정난지변
    4. [삼생기연]과의 서술시각 비교
    5. 결론
    제2장 활자본 고소설 [이진사전]에 나타난 첩에 대한 서술시각의 양면성과 그 시대적 의미
    1. 서론
    2. [이진사전]에 나타난 첩에 대한 양면적 시각
    3. 첩에 대한 양면적 시각의 시대적 의미
    4. 결론
    제3장 고전소설 ‘개과 서사’의 전개 양상과 의미 -처첩 갈등과 모자 갈등 상황을 중심으로
    1. 서론
    2. ‘개과’의 의미와 조건
    3. ‘개과’ 서사의 전개 양상과 의미
    4. 결론

    [제2부 고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형상과 가족관]
    제1장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천상계의 특징과 의미 -모자 관계 형상화를 중심으로
    1. 서론
    2.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천상계의 양면성
    3. 천상계의 시각에서 본 양모-양자 관계의 특징
    4. 가문소설의 향유 맥락과 천상계의 의미
    5. 결론
    제2장 [엄씨효문청행록]의 모자 관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1. 서론
    2. [엄씨효문청행록]에 나타난 모자 관계의 특징
    3. [엄씨효문청행록]의 모자 관계 서술시각과 그 의미
    4. 결론
    제3장 영웅군담소설에 나타난 가족 유대관계의 두 양상과 그 시대적 함의
    1. 서론
    2.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가족 유대관계
    3. 두 가지 가족 유대관계의 시대적 함의
    4. 결론

    [제3부 고소설의 여성 인물과 부부 서사]
    제1장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신분 위상과 부부 갈등
    1. 서론
    2. 남성 인물의 성격 요인을 중심으로 한 부부 갈등 해석의 성과와 한계
    3. 여성 인물의 사회적 처지에 따른 부부 갈등의 발생과 전개
    4. 결론
    제2장 [화문록]의 여성 인물 형상화와 그 서술 시각
    1. 서론
    2. 여성 인물의 대조적 형상화와 융화
    3. 여성의 애정 욕구에 대한 이중적 시각과 그 시대적 맥락
    4. 특징적 서사 장치들의 기능과 의미
    5. 결론
    제3장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애정 의지 유형과 그 의미
    1. 서론
    2.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애정 의지 유형
    3. 각 유형에 투영된 여성의 처지와 문제
    4. 결론
    제4장 고소설에 나타난 공주혼 모티프의 문학치료적 함의 -[소현성록]과 [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1. 서론
    2. [소현성록]과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공주혼과 부부 갈등의 양상 비교
    3. [소현성록]과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공주혼과 부부 갈등의 문학치료적 의미
    4. 결론

    수록 논문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