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한국 현대 시인 연구

    저자 송기한 , 김윤정
    정가 22000원

상세정보

한국 근대시가 형성된 지도 100년이 넘었다. 이 수치는 시간의 길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시인의 수효 또한 말해준다. 이 시간성은 초기의 어수룩한 근대시의 단계에서 세련된 현대시로의 진입을 가능케한 시간적 길이도 될 것이다. 근대시가 전개되는 동안 수많은 시인들이 명멸해갔다. 그 시인들을 모두 다 기억하는 것도 한계가 있거니와 이에 대한 계보학적 정리 또한 어느 정도 필요한 것이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러한 작업이 어떤 특별한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도 있고, 시사적 흐름에 따라 각 시기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그룹으로 분류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14인의 시인들은, 근대 이후 등장한 많은 시인들 가운데 그 시기를 특징하는 시인들로 구성한 것이다.

 

 

  • 1. 전통과 ‘영원성’의 감각 연구-김소월론
    2. 근대시와 불교적 상상력-한용운론
    3. 단편서사시의 대화적 담론 구조-임화론
    4. 근대성과 공간 이미지의 관계-정지용론
    5. 고향 공간화의 근대적 의미-백석론
    6. 탈근대성과 해체적 자의식-이상론
    7. 모더니즘과 ‘주체 회복’의 의의 -김기림론
    8. 불온한 현실과 저항의 미학-이육사론
    9. 현실과 순수의 길항관계-김영랑론
    10. 일상성과 영원성의 관계-서정주론
    11. 인간주의적 형이상학(形而上學)의 시적 탐색-유치환론
    12. 순결한 자의식과 공간성-윤동주론
    13. 자연, 그리고 일상성의 초월과 근대로의 여정-박목월론
    14. 유랑 의식과 근대적 사유-조지훈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