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중세 미학과 시가예술사 연구

    저자 김태환
    정가 49000원

상세정보

본서는 시가예술사 관련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미학 연구에 치중한 부류도 있어서 편목을 상하로 나누게 되었다. 〈상편〉은 자연미를 대상으로 하는 중세기 지성의 심미 인식과 정감 활동의 기본 규율에 관한 논제를 엮었고, 〈하편〉은 신라 하대로부터 조선 중기에 이르는 시기를 통틀어 시가의 예술적 향유와 그 문화 배경에 관한 논제를 엮었다.

 

 

  • 〈상편〉 심미 인식과 정감 활동의 기본 규율
    01 퇴계의 體用 제1의와 理의 寂感 -물격설 “理到”의 재조명
    02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03 퇴계 觀物堂詩 “觀我生”의 이론 배경
    04 퇴계의「陶山六曲」言志 제6장 “四時 佳興”의 해석
    05 고봉 起興說의 미학적 의미 -興의 미적 본질 문제
    06 樂山水 관념의 심미적 전환과 景物의 多情

    〈하편〉 시가의 예술적 향유와 그 문화 배경
    01 안압지 출토 목제 주사위 명문의 체계와 의미
    02 고운의 〈鄕樂雜詠〉 제2수 「月顚」의 음영 대상과 그 성격
    03 쌍화점 결구 “?거츠니”의 재해석
    04 어부가 원본의 질서와 무질서
    05 포은의 청심루 제영 ‘明朝’ 전구의 전승
    06 정철의 단가 “새원 원? 되여” 연작의 배경
    07 최전의 경포대 제영과 예술적 모방의 규범
    08 「정읍」의 주석 “指入”과 악절 “過篇”의 해석
    09 『대악후보』「정읍」의 완편과 그 선법
    10 단가의 범주와 그 악곡에 대한 고찰
    11 도남 시가사의 자연미 발견론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