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한국 근대 리얼리즘 시인 연구

    저자 송기한
    정가 46000원

상세정보

진보주의 문학, 혹은 리얼리즘 문학, 그리고 프롤레타리아의 세계관을 담은 문학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결성된 카프가 성립된 지도 어언 100년 가까운 세월이 되었다. 일부 부정적인 시선에도 불구하고 카프가 이뤄낸 성과는 결코 작은 것이 아니었다. 불온한 현실에 대한 반항이나 이를 토대로 미래에 대한 건강한 모형을 끊임없이 제시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얼리즘을 보는 시각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의 기저에 지금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양극화의 폐해가 내재해 있음은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자본주의 시대란 총체성의 상실로 특징지어진다. 그것은 형이상학적으로는 영원의 상실이고, 따라서 파편화, 분열화된 인간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모습들은 주로 모더니즘의 인식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지만 산문 양식이라고 해서 예외적인 것은 아니었다. 여기서는 주로 유토피아의 붕괴와 그에 따른 불온한 사회에 대한 반영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어떻든 그 잃어버린 고향이 바로 총체성이다. 산문양식이 그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가는 것, 그것이 리얼리즘이 추구하는 근본 목적 가운데 하나가된 것은 여기에 그 원인이 있다. 그 도정에 이르는 길이 갈등과 인정투쟁, 변증적 통일의 세계이다. 이 세계에 대한 지향이 바로 산문 양식이 리얼리즘에서 시도해야 할 궁극의 목표라 하겠다.

 

 

  • 제1장 저항과 자유의 사이 / 권구현론
    제2장 근대 혹은 신경향파 전사(前史) / 김형원론
    제3장 계급문학의 선구자 혹은 이상주의자 / 조명희론
    제4장 동반자 혹은 민족주의자 / 유완희론
    제5장 낙관적 전망의 시인 / 박세영론
    제6장 민족모순에서 계급모순으로 / 김창술론
    제7장 이념과 순수의 줄다리기 / 권환론
    제8장 농민 문학의 선구 / 박아지론
    제9장 근대를 항해하는 프로시인 / 박팔양론
    제10장 계급과 민족의 사이 / 임화론
    제11장 북방 정서와 혁명적 열정 / 이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