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저자 송재용
    정가 33000원

상세정보

이 책은 고잔문학의 방법론의 모색과 고전작가, 고전작품을 이해하고 고전문헌 속의 글쓰기 등을 항목별로 정리, 수정 보완하여 실었다. 제1부는 고전문학의 방법론과 한시 분류와 해석, 일기문학론 시고를 정리하였다. 제2부와 3부는 송기수ㆍ유희춘ㆍ송덕봉의 문학, 〈마원철녹〉과 〈대일본유람가〉을 소개한다. 제4부는 문헌서지학과 연관이 있는 글들이다. 〈미암일기〉의 서지와 사료적 가치는 고전문학과 역사학(특히 조선 중기) 분야에 주목된다. 끝으로 부록에는 최초로 국역한 개화기 서양인이 쓴 〈한국의 소설문학〉을 소개한다.

 

 

  • 〈제1부〉 방법론적 모색
    1. 한시 분류와 해석을 위한 시각의 재정립
    2. 꿈 설화 유형 분류 시고
    3. 일기문학론 시고

    〈제2부〉 고전작가의 이해
    1. 추파 송기수
    2. 미암 유희춘
    3. 사암 박순
    4. 석주 권필

    〈제3부〉 고전작품의 이해
    1. 권필의 풍자시
    2. 〈춘향전〉 인물의 의식세계
    3. 〈마원쳘녹〉
    4. 〈일본유람가〉에 나타난 일본과 일본관

    〈제4부〉 고전문헌과 독서법과 글쓰기
    1. 『미암일기』의 서지와 사료적 가치
    2. 퇴계의 독서법과 그 활용
    3. 일기를 통해 본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기록정신

    【부록】
    ❮자료❯개화기 서양인이 쓴 ‘한국의 소설문학’(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