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문학

  • 언어의 그림자

    저자 홍순애
    정가 23000원

상세정보

-현대소설의 장르적 변용

 

본서는 연설, 기행문의 담론의 구성과 공론형성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설의 장르분화와 장르창출의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소설이 근대를 구성하는 다양한 물적, 정신적 토대 위의 상호연관성 속에서 변모하는 장르라는 관점을 고려할 때 소설연구는 그동안의 도식적이고 정태적인 체제를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소설장르가 사회, 역사적 산물로써 생성, 발전, 소멸하는 과정을 수반한다는 점에서 당대의 정치적 문제와 개인적 삶의 변화는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소설 장르가 갖는 사회와의 대응관계, 공론의 추이, 담론의 구조화 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한정된 영역을 탈피하여 소설 장르를 확장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제1부 근대 소설의 형성과 연설의 연계성
    제1장 1920~30년 소설의 장르분화와 ‘연설체 소설’의 형성
    1. 청중의 탄생과 공론장의 활성화
    2. 개조론의 전유와 연설 주체들의 길항
    3. 소설의 장르적 개방성과 ‘연설체 소설’
    제2장 일제말기 소설과 파시즘 연설의 서사전략
    1. 일본어 글쓰기와 제국의 상상력
    2. 제국 이데올로기의 심미화를 위한 ‘서사적 연설’
    3. 내선일체 황국신민의 논리 강화를 위한 ‘연설적 서사’

    제2부 식민지 시기 기행문의 지정학적 상상력
    제1장 이광수 기행문의 유적의 기념비화와 민족서사 창안 논리 -1930~40년대 기행문을 중심으로
    1. 국토여행의 이데올로기
    2. 공적기억의 호출과 ‘조선심’의 민족서사
    3. 전도된 역사 인식과 만주 이상촌 건설의 환영
    4. 신민의 자격과 합리화된 민족서사
    제2장 최남선 기행문의 문화민족주의 변모와 제국협력의 논리 -『송막연운록(松漠燕雲錄)』(1937)
    1. 민족 기원 찾기와 기행문
    2. 일선동화의 논리와 오족협화 이념의 확장
    3. 문화전파론을 통한 문화적ㆍ인종적 기원 탐색
    제3장 채만식 기행문의 만주 지정학과 비협력의 논리 -「간도행」(1943)
    1. 총후문학으로서의 기행문
    2. 선만일여의 논리와 왕도낙토의 표상
    3. 동요하지 않는 ‘관람객’과 비협력의 논리
    4. 시각의 이질성, 과도한 환상에의 도취

    제3부 근대주체의 자아탐색과 서사전략
    제1장 염상섭 『만세전』의 타자성 경험의 이중적 양상
    1. 근대 주체의 발견과 타자성
    2. 관계성에 의한 환멸과 은폐의 시선
    3. 일망감시적 시선에 의한 ‘봄-보임’의 역학
    4. 자기고백을 통한 반성적 사유와 ‘신생’의 지향
    제2장 최정희 소설 「야국초」의 젠더성과 천황제 파시즘
    1. 여성의 코라(chora)적 글쓰기
    2. 군국의 어머니 되기와 제국에의 헌신
    3. 천황의 적자 편입과 제국에 임대된 모성
    4. 천황제 파시즘과 펠로센트리즘
    제3장 최인훈 소설 『광장』의 섹슈얼리티와 에로티시즘
    1. 개작과정과 서사적 의미 변화
    2. 박제된 육체의 탈성화(desexualization)
    3. 육체의 상징화 과정과 에로티시즘
    4. 1960년대 성담론의 변이와 차별화
    제4장 김승옥 소설 「무진기행」의 실존적 개인성과 크로노토프(chronotope)
    1. 시공간의 본질적 연관성
    2. 토포스의 병렬적 구성-주체적 크로노토프
    3. 환몽의 안과 밖의 구조-파생적 크로노토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