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생태시를 통한 생태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교사들의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태시는 아이들이 살아가야 할 세계를 보여준다. 그리고 현재의 삶에서 무엇이 문제인지 일깨워주며 아이들이 지켜야 할 것을 일러준다. 교사들은 평소에 많은 생각을 하지만 교실 현장에서는 교육 과정에 쫓겨 고민을 현실화시키지 못한다. 본고는 그런 고민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의미가 크다 할 것이며, 학위 논문에서 삭제되었던 생태시의 유형 분석을 실어 다양한 생태시의 양상을 이 책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
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2장. 생태 문학과 생태시
1. 생태학과 생태 문학
2. 생태시의 개념과 특성
3. 생태 비평의 교육적 적용
3장. 생태시의 유형
1. 문명과 생태시
1) 자본주의로 인한 생태계 파괴
2) 인간 소외 현상의 상징적 표현
3) 신화적 상상력의 생태학적 변형
2. 여성과 생태시
1) 대지로 형상화된 여성
2) 모성의 위기 의식 표출
3) 생명력의 원천으로서의 여성성
3. 생태시와 인식 전환
1) 생명에 대한 재발견
2) 인간 관계의 재인식
3) 공동체적 삶의 지향
4장. 교육 과정의 생태시
1. 생태시 교육의 특성
2. 수업 설계시 유의점
1) 학습자의 수준 고려
2) 교사의 수업 의도
3) 피드백을 통한 내면화
3. 교과서 수록 생태시의 주제 유형
1) 상생의 조화와 생명 공간의 재인식
2) 자연과의 동일성 지향과 상실 의식
3) 생명 의식의 존귀함과 연대적 각성
5장. 생태시 교수 - 학습의 실제
1. 생태시 분석
1) 기초적인 고찰
(1) 제목의 의미
(2) 분위기 형성
2) 구조적인 고찰
(1) 대조법
(2) 의인법
(3) 대화체
3) 생태적 의미 고찰
(1) 생태 환경의 악화
(2) 생명 사상의 의미
4) 주체 의식
(1) 관계론적 인식
(2) 우주 공동체적 의식
2. 상호 텍스트성 활용
1) 제재 분석
2) 시적 화자의 태도
3) 배경의 의미
4) 주제 의식
3. 토론 학습
1) 자료 제시를 통한 동기 유발
2) 생태시 자료 이해
3) 기아에 대한 배경 지식 제시
4) 토론 학습
4. 비평문 쓰기
1) 빈 칸 채우기
2) 한 줄 쓰기
3) 모방시 쓰기
4) 감상문 및 비평문 쓰기
5. 생태시 교육의 확장
1) 환경 체험하기
(1) 현장 견학
(2) 모둠 활동 학습
2) 여타 문화 양식 활용
(1) 영화 활용
(2) 광고 활용
3) 타 교과와의 연계 학습
(1) 생명체의 특성 활용
(2) '관계' 법칙의 활용
4) 실천화 방안
(1) 교육 과정의 재편
(2) 실천 교육 및 홍보
6. 결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