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자 | 박강훈 |
| 정가 | 40000원 |
상세정보
이 책은 한일 양 언어의 문법 체계와 그 변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이론 연구로서의 색채가 강한 구성을 하고 있다. 특히, 한일 양 언어에 있어서의 문법화의 공통성·상이성을 비교 대조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멀티링걸 교육에 있어서의 언어간 이해의 촉진이나 교재 개발의 이론적 기반으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문법화의 연구는 단순한 언어 내부의 통시적 변화에 머무르지 않고, 사람의 이동·접촉을 통한 언어변용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시점으로서도 유효하다. 동서고금 인간은 끊임없이 이동하며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와 접촉해 왔다. 그러한 접촉의 과정에 있어서 어휘나 표현이 교차·침투해, 문법 구조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바로 다문화·다언어 사회에 있어서의 언어의 동태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서에서 다루는 한일 양 언어의 문법화 현상 또한 그러한 동태의 일단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밝히는 시도이다.
<차례>
第1章 序章:文法化理論と韓日語対照研究の視座
<第1部> 否定表現と命令の文法化
第2章 否定命令形式の文法化:「-마/-な」の対照分析
第3章 否定命令文の類型論的研究
第4章 否定循環の観点からみた韓日両言語の対照研究
<第2部> 否定副詞と限定副助詞の文法化
第5章 否定副詞の文法化 I:「결코/決して」の使用変遷
第6章 否定副詞の文法化 II:「전혀/全然」の意味変化
第7章 除外表現の文法
第8章 副助詞の文法化 I:機能の変遷と統語的制約
第9章 副助詞の文法化 II:上接語句における形式変化
<第3部> 理論的課題と文法化の多様性
第10章 日本語副助詞の文法化研究の展望と今後の課題
第11章 複数文法カテゴリーに属する形式の文法化:機能重層性の視点から
第12章 膠着語における副助詞と否定極性表現:形態統語理論の観点から
<第4部> 総合的分析と対照的視座
第13章 否定極性表現の文法化の度合いの相違:コーパスに基づく研究
第14章 文法化の度合いに関する韓日比較分析
第15章 韓日両言語の文法化研究の現状と展望
第16章 結章:統合的考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