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하여
이 책은 레쟈드, 주나스트 등의 외국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한글의 파스파 문자 모방설에 대하여 처음으로 국내연구자가 정식으로 반론을 제시한 것이며 『몽고자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서다. 『몽고자운』은 원(元) 세조(世祖) 쿠빌라이 칸이 팍스파(八思巴) 라마를 시켜 만든 파스파(h̦P'ags-pa) 문자로 중국 한자의 표준음을 표기한 운서이다. 파스파자는 한자음 표기를 위하여 세종이 창제한 훈민정음보다 170여 년 전에 티베트 문자를 본떠서 만든 표음 문자로 알려졌으며 훈민정음과의 관계로 우리 학계의 주목을 받았지만 아직 그 전모가 밝혀지지 않은 수수께끼의 문자이다. 본서는 수수께끼인 파스파 문자의 제정으로부터 훈민정음이 얼마만큼 영향을 받았으며 또 파스파자와의 차이는 어떠한가와, 한글의 문자에서 자형은 독창적으로 만들어졌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비판과 질정(叱正)이 따를 것으로 예상하고 그런 논의를 통하여 우리 문자 한글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권두언
일러두기
제1장 서론
제2장 『몽고자운』의 편찬과 내용
2.1 『몽고자운』의 간본(刊本)
2.2 원간(原刊)과 편자(編者)
2.3 『몽고자운』의 편찬 목적
2.4 『몽고자운』의 내용
2.5 『사성통해』 몽운(蒙韻)으로 본 『몽고운략』과 『몽고자운』
2.6 『몽고자운』과 『신간운략』 및 『중원음운』
2.7 『고금운회거요』와의 관계
2.8 『몽고자운』의 이본(異本)
제3장 大英도서관 소장 『몽고자운』의 런던 초본
3.1 런던 초본의 서지사항
3.2 런던 초본의 체재
3.3 런던 초본의 와오(訛誤)
3.4 『몽고자운』의 영인 출판
3.5 런던 초본의 필사(筆寫) 시기
제4장 파스파 문자의 제정과 『몽고자운』
4.1 역사적으로 본 몽고 주변의 표음문자
4.2 팍스파 라마의 토번(吐藩)
4.3 파스파자와 티베트 문자
4.4 파스파 문자의 제정 시기
4.5 파스파 문자 제정의 목적
4.6 파스파 문자의 사용과 전파
4.7 파스파 문자의 자음(子音)
4.8 파스파 문자의 모음(母音)
4.9 파스파 문자의 자모(字母)
제5장 파스파자와 훈민정음
5.1 파스파 문자의 제정과 훈민정음의 창제
5.2 파스파자 36자모와 훈민정음 17초성자
5.3 훈민정음의 11中聲字와 몽고자운의 7喩母字
5.4 훈민정음 자형(字形)의 독창성(獨創性)
제6장 결론
6.1 『몽고자운』의 편찬
6.2 『몽고자운』의 런던 초본(鈔本)
6.3 파스파 문자와 『몽고자운』
6.4 파스파자와 훈민정음
◎사진목차
◎표목차
◎참고문헌
◎자료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