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다문화총서”는 우선 언어, 사회, 의학, 교육의 네 분야로 나누어 출간되며, <언어>에서는 언어와 문화의 상관관계, 언어의 보편성과 개별성의 관계, 언어간 비교 대조의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사회>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진단하고 사회통합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는 사회적 역량을 구축하고, 이를 제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며, <의학>에서는 이주민의 건강과 관련된 문제 즉 이주민과 원주민의 면역체계, 다문화가정 자녀와 한국인의 면역체계, 다문화가정을 위한 임신 출산 등 다문화 가정과 의료 건강 분야에 관한 것을 다룬다. <교육>에서는 이중언어사회에서의 언어교육에 관한 문제, 특히 국내의 경우 다문화가정과 그 자녀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문제, 국외의 경우 동포들의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등의 문제가 주로 대상이다.
- 1. 중국 연변의 조선족 교육 현황과 해결책에 대한 소견/ 김영수
1). 조선족교육의 위기와 그 원인
2). 해결방안
2. 중국 상해 지역 동포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강은국
1). 머리말
2). 중국 동포 사회의 변동과 상해 지역 동포 사회의 현황
3). 상해 지역 동포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4). 마무리
3. 동경지역 재일동포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남윤진
1). 들어가기
2). 사회 환경․언어 상황
3). 재일동포의 한국어 교육 실태(1) : 민족 학교의 교육
4). 재일동포의 한국어 교육 실태(2) : 학교 밖에서의 교육
5). 전망과 과제
4. 필리핀 동포(한국인)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황인수
1). 서언
2). 재외동포와 재외국민 개념과 그 현황
3). 필리핀 동포교육의 현황
4). 개선방안
5. 인도네시아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에 대한 제언/ 백창훈
1). 머리말
2). 인도네시아의 한국어 교육 현황
3). 인도네시아의 한국어 교육 체계의 문제점과 제언
4). 인도네시아 한국어 연수원의 활동과 계획
5). 결언
부록. 한국어 국외 보급 관련 기관/ 오광근
1). 들어가는 말
2). 한국어 교육의 현황
3). 한국어 국외 보급 관련 국가 기관·단체와 추진 사업
4).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