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제Ⅰ부는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에 거주하고 있는 부령지역어 화자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부령지역어에 나타나는 여러 음운 변화를 고찰하고 있다. 제Ⅱ부는 연변방언 관련 논문으로 제1장에서는 연변지역어에 쓰이는 간접인용의 ‘-는/(으)ㄴ 매’의 쓰임과 용례를 통해 형성과정과 통사·의미기능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연변지역어의 언어 내적 구조와 부정소 위치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제3장은 연변지역어의 호격조사에 대해, 제4장은 연변지역어의 종결어미 ‘-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5장에서는 함경도 방언에 나타나는 담화 표지 ‘응’과 ‘야’에 대해 그 통사적 특성과 담화 기능을 밝히고 있다.
- 제Ⅰ부 함북 부령지역어의 통시 음운론 13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과 의의
2. 연구 방법
3. 연구사 개관
4. 연구 대상과 자료
5. 음운목록과 음운변동
제2장 모음의 변화
1. 모음체계의 변화
2. 상향이중모음의 변화
3. 원순모음화
4. 모음조화
5. 움라우트
제3장 자음의 변화
1. 어중자음
2. 구개음화
3. 비음 탈락
4. ‘ㄴ’ 첨가
5. 어간말 자음의 변화
6. 특수 교체 어간
제4장 결 론
참고문헌
제Ⅱ부 연변방언 관련 문법요소 연구
제1장 연변지역어 간접 인용 ‘-는/(으)ㄴ 매’에 대하여
1. 서 론 227
2. ‘는/(으)ㄴ매’의 형성 과정 230
3. 통사?의미론적 특성 239
4. 결 론
제2장 연변지역어의 부정소에 관한 일고찰
?단형 부정문에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1. 서 론
2. 서술어가 단일어인 경우
3. 서술어가 파생어인 경우
4. 서술어가 합성어인 경우
5. 서술어가 ‘본 용언+보조 용언’구성인 경우
6. 결 론 268
제3장 연변지역어의 호격조사에 관한 일고찰
?선행 체언과 상대높임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1. 서 론 269
2. 비존칭의 호격조사 ‘아/야’, ‘이’, ‘Ø’
3. 친족호칭과 존칭의 호격조사 ‘에’
4. 결 론
제4장 연변지역어의 종결어미 ‘-재’에 대한 일고찰
1. 서 론
2. ‘재’의 형성 과정
3. 통사?의미론적 특징
4. 결 론
제5장 함경도 방언의 담화 표지 ‘응’과 ‘야’의 고찰
1. 서 론
2. ‘응’과 ‘야’의 통사적 특성
3. ‘응’과 ‘야’의 담화 기능
4. 결 론
[조사 어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