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어학

  • 역학서의 세계

    저자 정광
    정가 88000원

상세정보

-조선 사역원의 외국어 교재 연구

 

〈역학서〉는 피아의 언어 변천을 잘 반영하는 특수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의 후속 연구다. 조선왕조는 사역원을 설치하고 여러 외국어, 즉 한어, 몽고어, 일본어, 그리고 여진어 또는 만주어를 교육하였다. 앞의 책이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교육제도, 교육방법, 교육평가 및 역관들의 양성과 관리에 관한 연구서라면, 본 책 〈역학서의 세계〉는 여기에 사용한 교재들에 대하여 서지학적이고 언어학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모두 당시 생생한 회화체의 구어를 교재로 하였기 때문에 당시의 언어를 알아야 이 교재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청 태조 누르하치 시대의 만주어를 교육하는 〈삼역총해〉는 한문과 만주어로 된 〈{만한} 삼국지〉를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외국어 교재들이 어떻게 편찬되었고 어떤 내용이었으며 어떻게 교육되었는지를 본서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 〈권두언〉

    〈제1장〉 총론(總論)
    1. 서언(緖言)
    2. 사역원의 설치와 설장수(楔長壽)
    3. 사역원의 조직과 외국어 교육
    4. 역학서(譯學書)의 변천
    5. 역학서의 책판(冊版)과 간행

    〈제2장〉 한학서(漢學書)
    1. 들어가기
    2. 역과 한학과 한학서(漢學書)
    3. 한학서의 간행
    4. 최세진(崔世珍)의 〈노박〉 번역
    5.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해

    〈제3장〉 몽학서(蒙學書)
    1. 들어가기
    2. 역과 몽학(蒙學)과 몽학서
    3. 몽학삼서(蒙學三書)의 중간

    〈제4장〉 왜학서(倭學書)
    1. 들어가기
    2. 초창기(草創期)의 왜학서
    3. 조선 중기의 왜학서
    4. 후기의 왜학서
    5. 〈왜어유해〉의 성립과 간행
    6. 역과 왜학의 초시·복시

    〈제5장〉 청학서 및 여진학서
    1. 들어가기
    2. 사역원의 여진학 교재
    3. 역과 청학(淸學)과 청학서
    4. 청학서 〈천자문〉
    5. 〈소아론〉과 반(反) 유교문화
    6. 청학사서와 〈청어노걸대신석〉

    〈제6장〉 결론(結論)
    1. 총론(總論)
    2. 한학서(漢學書)
    3. 몽학서(蒙學書)
    4. 왜학서(倭學書)
    5. 청학서(淸學書)
    6. 마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