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어학

  • 한국어 추측 표현 교육 연구

    저자 강비
    정가 16000원

상세정보

『한국어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한국어의 ‘추측 표현’ 문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습득 양상과 교육 현황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통하여 추측 표현에 대한 교육 현황이 많이 미흡하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 초점을 두고 효율적인 문법 교수ㆍ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논문들과는 차이점을 지닌다. 한국어교육의 최종 목표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있다. 의사소통에 있어 문법은 아주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문법의 사용에 대해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특히 추측 표현의 경우 비슷한 의미 기능을 하는 추측표현이 다양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이 따른다.

 

  • [제1장] 한국어 추측 표현 개관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사 검토
    3.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양태와 추측 표현
    1. 양태의 개념과 분류
    2. 한국어 추측 표현 선정
    2.1. 선정 기준
    2.2. 사전 조사
    2.3. 사용 빈도 분석

    [제3장] 추측 표현의 특징 및 양상
    1. 한국어 추측 표현의 특징
    1.1. 분석 기준
    1.2. 형태ㆍ통사적 특징
    1.3. 의미적 특징
    1.4. 화용적 특징
    2. 한ㆍ중 추측 표현의 양상
    2.1. 한국어 추측 표현의 양상
    2.2. 중국어 추측 표현의 양상
    2.3. 한국어와 중국어 추측 표현의 대응 양상

    [제4장] 추측 표현 교육을 위한 전제
    1. 한국어 교재 분석
    1.1. 교재 분석의 필요성
    1.2. 교육 내용
    1.3. 문제점
    2. 학습자의 이해능력 조사
    2.1. 조사 방법
    2.2. 예비 설문조사
    2.3. 1차 설문조사
    2.4. 2차 설문조사
    2.5. 이해능력 조사 최종 결론
    3. 학습자의 사용능력 조사
    3.1. 조사 방법
    3.2. 사용 오류
    3.3. 추측 표현 사용 빈도 비교
    3.4. 사용능력 조사 최종 결론

    [제5장] 추측 표현의 교수ㆍ학습 방안
    1. 교수ㆍ학습 방안 설계
    1.1. 교수ㆍ학습 목표 설정
    1.2. 교수ㆍ학습 접근법
    2. 교수ㆍ학습의 실제
    2.1. PPP 수업 모형
    2.2. ESA 수업 모형
    2.3. 교수 모형 구성
    2.4. 수업의 실제

    [부록1] 한국어 추측 표현 이해능력 조사
    [부록2] 한국어 추측 표현 사용능력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