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어학

  •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저자 박덕유
    정가 17000원

상세정보

발음교육은 한국어 발음의 특성을 이해해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자음동화, 모음동화, 구개음화, 종성 규칙 등 문법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이 왜 그렇게 발음을 하는지 원리를 학습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에 본서는 한국어 말소리인 음운론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하도록 총 9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한국어 음성학과 음운론〉에서는 말소리의 유사한 용어인 음성학과 음운론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음운론의 개념과 특질〉을 기술하였다. 특히 훈민정음의 초성, 중성, 종성의 제자원리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은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음의 경우 조음 위치와 방법, 모음의 경우는 혀의 전후 위치와 높낮이, 그리고 입술 모양 등을 통해 발음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제4장은 〈한국어의 운소〉이다. 운소는 단어의 의미를 분화하는 데 관여하는 음소 이외의 운율적 특징으로 소리의 높
낮이, 길이, 세기, 그리고 문중연접과 문말연접 등의 고찰이 필요하다. 제5장 〈한국어의 음절〉에서는 명음도(sonority)가 높은 음절 주음이 되는 모음을 중심으로 음절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6장은 〈한국어의 음운 규칙〉으로 본서에서는 크게 동화와 비동화로 분류하고, 동화의 경우 자음동화(비음화, 유음화), 자음ㆍ모음간동화(구개음화), 모음동화(모음조화, ㅣ모음동화), 비동화의 경우 받침 규칙, 축약, 탈락, 첨가, 이화, 음운도치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7장은 〈한국어의 변별적 자질〉로 어떤 음성요소가 다른 음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데 필요한 음운상의 특징인 변별자질의 개념과 주요 변별자질에 대해,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동화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제8장은 〈한국어의 형태음운론〉으로 형태 및 이형태의 개념과 특징, 형태음소의 개념과 특징, 용언의 활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 제9장은 〈한국어의 표준발음법〉으로 그 규정과 이에 대한 해설을 기술하였다.
본서는 한국어 음운론, 즉 말소리의 개념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도록 구성하여 한국어 학습자는 물론 한국어 교원들에게도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제1장 한국어 음성학과 음운론
    제2장 한국어 음운론의 개념과 특질
    제3장 한국어의 음운 체계
    제4장 한국어의 운소
    제5장 한국어의 음절
    제6장 한국어의 음운 규칙
    제7장 한국어의 변별적 자질
    제8장 한국어의 형태음운론
    제9장 한국어의 표준발음법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