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어학

  • 한국어 연구사

    저자 정광
    정가 88000원

상세정보

이 책 〈한국어 연구사〉는 한국어 연구의 역사를 살펴본 한국어학사라고 할 것이다. 모든 분야의 연구에서 학사(學史), 즉 연구사는 매우 중요하다. 지금의 연구가 전시대의 연구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언어의 연구에서도 언어학사가 항상 중요하듯 지금까지의 연구가 어떠했고 현재의 상황은 어떠하며 앞으로의 연구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를 살펴보면서 지금의 연구를 자리매김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연구는 서양 언어학의 방법에 의거하여 연구된 것만을 한국어학으로 보려는 연구자들이 많다. 그러나 우리말의 연구는 오랜 역사를 가졌고 서양 언어학이 들어오기 전부터 상당한 수준의 연구가 있었다. 특히 한글 창제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서양 언어학이 들어오기 훨씬 전부터 우리말에 대한 깊은 연구가 있었다.
특히 인접한 중국에는 일찍부터 성운학(聲韻學)과 자학(字學)이 있고 불경을 통하여 수입된 고대인도의 비가라론(毘伽羅論)을 비롯한 성명기론(聲明記論)의 영향은 한글 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 중국 원대(元代)의 파스파 문자의 제정에 따른 여러 문자의 이론들도 고스란히 조선 초기의 한글 창제에 바탕이 되었다.
서양의 언어 연구, 문법이란 이름이었지만 흔히 서양의 고대희랍과 로마시대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본다. 그러나 동양에서도 역사 이전부터 언어를 연구하고 문법을 논의하여 왔다. 서양의 희랍문법과 로마의 라틴문법에 바탕이 된 동양의 고대인도에 산스크리트 문법, 즉 범어(梵語) 문법이 있었다.
다만 서양 중심의 학문 연구사에서 중국과 인도의 두 고대국가가 이룩한 언어 연구가 무시되거나 누락되었을 뿐이다. 본서의 제2장에서는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학문은 전시대의 연구에 의거하여 발전한다. 특히 한반도에서는 지정학적으로 유라시아의 대륙에 붙어 있고 역사적으로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는 중국과 인접해 있어 그들의 문화와 더불어 학문도 수용하고 발전시켜 재창조하는 일이 많았다. 또 불경을 통하여 고대인도의 문화를 항상 접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동양의 거대한 두 문화는 우리의 여러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언어 연구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따라서 학문의 연구사도 이와 같은 주변 민족의 학문을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알지 못하면 올바른 이해가 어렵다. 우리 학문도 끊임없이 다른 나라의 학문으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온 것처럼 한국어학도 다른 언어학과의 관계를 살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제1장 서론
    1. 한국어학
    2. 언어학사로서의 한국어학사
    3. 한국어학사의 시대구분

    제2장 간추린 동·서양 언어학사
    1. 인류의 언어 의식
    2. 고대인도의 범어(梵語) 문법
    3. 중국의 성운학(聲韻學)
    4. 서양의 고전 문법
    5. 문예부흥과 19세기까지의 언어 연구
    6. 20세기의 공시적 언어학과 구조언어학

    제3장 고대시대 한반도의 언어와 문자
    1. 시대의 개관(槪觀)
    2. 삼국시대 언어의 인식과 표기
    3.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자 연구
    4. 학문의 발달과 성운학의 보급
    5. 이두(吏讀)와 이문(吏文)

    제4장 조선전기의 한글 창제
    1. 시대의 개관(槪觀)
    2. 세종의 새 문자 창제의 배경
    3. 훈민정음의 제정
    4. 훈민정음 글자의 음성학적 이해
    5. 한자음의 교정과 〈동국정운〉의 편찬
    6. 최세진(崔世珍)의 정음(正音) 연구

    제5장 조선후기의 정음(正音) 연구와 역학(譯學)
    1. 시대의 특징
    2. 실학적(實學的) 정음 연구
    3. 역학(譯學)의 발흥(勃興)
    4. 공용문의 이문(吏文)과 이두문(吏讀文)

    제6장 개화기 이후의 근대적 한국어 연구
    1. 시대의 개관
    2. 대한제국 시대의 한국어 연구
    3. 일제(日帝)의 한국 병합(倂合) 이후의 한글 연구
    4. 일제 강점기의 음운, 문법 연구
    5. 조국 광복 이후의 한국어학

    제7장 20세기 후반의 현대 한국어학
    1. 시대의 배경
    2. 시대의 개관
    3. 한국어학의 새로운 변화
    4. 현대한국어학의 제 분야

    제8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