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어학

  • 바른 한국어 사용과 습득을 위하여

    저자 모세종
    정가 15000원

상세정보

본서는 현재 변화하고 있는 한국어사용의 실태를 집어보고, 문제점과 사용배경을 살펴 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양 있고 건전한 사회건설에 있어서 언어의 중요성을 공유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언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사회, 학교의 언어사용에 대해서도 고찰하여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개인의 언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으로는 방송매체의 언어사용을 대상으로 한다.

공영방송이란 적어도 바르고 공손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최근의 방송매체는 언어사용에 심각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특히 젊은 사람들을 앞세운 방송은 규범을 왜곡하는 유행적 감각에 편승한 바르지 못한 언어를 거리낌 없이 표출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부적절한 언어사용을 일반화시키고 있다. 상황에 맞는 규범적인 언어사용이 담보되어야 할 방송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한국어를 지키고 발전시키기는커녕 오히려 혼탁하게 만들기도 하여, 일탈하고 있는 한국어를 정화시키거나 순화시키는데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국민들과 일상의 호흡을 같이하는 방송매체야말로 언어사용에 있어서 귀감을 보여야 한다. 특히 공영방송 등 지상파의 공공성이 높은 방송매체는 한국인의 언어사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에, 가능한 한 보수적인 시각에서 규범에 맞는 언어사용을 견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많은 국민들이 바르게 훈련된 방송인들의 언어를 통하여 올바른 한국어를 듣고 익힌다는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제1장〉 한국어사용의 진단과 개선
    1. 한국어사용의 현재
    2. 경어의 붕괴와 오용
    3. 위상어의 흔들림
    4. 막말사용 증가
    5. 부적절한 영어사용의 증가
    6. 바르지 못한 어휘사용의 증가
    7. 부적절한 표현의 증가
    8. 잘못된 읽기의 증가

    〈제2장〉 한국어 습득환경의 문제와 개선방향
    1. 바른 언어사용모델 제시
    2. 바른 언어교육 실시
    3. 인성함양 교육

    맺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