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일문중문

  • 힘내기 떡 [시마자키 도손의 역병 동화해설]

    저자 시마자키 도손
    정가 9000원

상세정보

본 역서인 『힘내기 떡(力?)』은 도손이 말년에 준비한 마지막 동화집이다. ‘힘내기 떡’이란 저자가 후기에도 말하고 있지만 힘든 고갯길을 넘을 때 지치고 힘든 이를 위로해주고 넘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떡을 말한다. 도손은 이러한 심정으로 『힘내기 떡』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동화가 출판된 1940년은 일본인들에게 무척 힘든 시기였다.
금방 끝날 것 같았던 전쟁이 장기화되어가면서 안팎으로 국가가 요구하는 사항은 날로 늘어 가고 경제공황에 따른 지독한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바로 이 시기에 도손은 자신의 지병을 다스려가며 동화집을 출판했다.
『힘내기 떡』의 의의는 도손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신의 안위에서 벗어나 국민들의 ‘현실극복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 -책머리에-
    제1장/ 10개 이야기
    시계 이야기 ? 개구리 소리 ? 밤 아이들 ? 매미의 송별회 ? 소의 리더 ? 양치기 이야기 ? 허수아비 ? 민들레 ? 복숭아와 창포의 계절 ? 절의 동자승

    제2장/ 엄마를 그리워하다
    엄마를 그리워하다 ? 무를 담그는 집 ? 옛날 연못 ? 소금 주먹밥 ? 토란메밀소병 ? 이발사 아버지와 딸? 어울리지 않은 사람 ? 열매가 열릴까요? 안 열릴까요? ? 에나산의 기슭 ? 마을의 사투리 ? 하얀 개 이야기 ? 엄마의 상경

    제3장/ 두 개의 벼락님과 그 외
    두 개의 벼락님 ? 처음 세상 여행에서 ? 오우미의 도공 ? 구레 구미코씨 ? 구리모토 선생님 ? 헌옷가게 주인

    제4장/ 교사는 친구들 중에서도
    교사는 친구들 중에서도 ? 작센 바다 ? 젊은 친구의 죽음 ? 빗자루나무 ? 마음을 바꾸러 ? 가즈사행의 배가 생겼을 때 ? 카노산 ? 고미나토에 ? 현관지기 ? ?소공자?의 번역가

    제5장/ 미야기노
    미야기노 ? 마쓰시마 ? 어머니의 장례식에 ? 부모님의 묘 ? 어치새의 인사 ? 귀향의 날 ? 센다이에서의 숙박 ? 아라하마 ? 귀가 밝은 사람 ? 목상의 알현 ? 소나무바람 ? 긴 것 ? 도미와 연어 ? 아침

    제6장/ 누나
    누나 ? 누나의 집 ? 밤밥을 좋아하는 기쓰옹 ? 말시장이 서는 마을 ? 장사꾼 ? 옛 밥그릇 ? 가을을 맞이하여 ? 박보다 박고지나물로 ? 쓸쓸할 것 같은 사람 ? 기소의 파리

    제7장/ 아사마의 산기슭
    아사마의 산기슭 ? 상투 ? 흙과 물 ? 땅무 ? 산 위에 오는 겨울 ? 미역 팔이 ? 고사리와 죽순 ? 사쿠의 말 ? 복숭아 ? 개구리의 견학 ? 책은 들에도 강에도

    제8장/ 12개 이야기
    책 읽는 소리 ? 사이토씨의 하오리 ? 수제품 장난감 ? 오야마 기요노씨의 비문 ? 어린이의 친구 1 ? 어린이의 친구 2 ? 어린이의 친구 3 ? 바다의 신 ? 키재기 마을 ? 새 건물이야기 ? 두 여행객의 문답 ? 꽈리

    -[힘내기 떡]을 쓴 뒤
    -펴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