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창수, 김미선, 박신영, 조유미 |
정가 | 24000원 |
상세정보
일본 신화는 단순한 옛이야기가 아니라, 일본 문학과 사상의 근저를 지탱하는 중요한 원천이다. 오늘날 일본의 문화콘텐츠에서는 신화적 발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그러한 발상의 근저에는 늘 《고사기》가 자리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야를 넓혀 문학이건 사상이건 일본의 지성인들은 근대 일본의 지적 담론을 거론할 때 ‘내셔널리즘’을 무시하는 일이 없었고 이들에게도 《고사기》는 늘 자명한 전제였다. 이들의 관점에서 볼 때 근대 일본의 ‘네이션(nation)=스테이트(state)’ 단계는 고대에 일어난 일과 서로 겹치는 과정이었고 근대의 기점인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은 외견상으로 보면 서양화, 자본주의를 지향한 것으로 보여도 내실은 고대 ‘왕정복고(王政復古)’로 표상되었다는 인식은 이미 상식이나 다름없다. 이는 일본인 정체성의 원천을 고대 역사인식이나 문학 그중에서도 특히 《고사기》에서 찾으려는 역사적 변용의 하나이며, 오늘날 일본문화 전반에도 이런 중첩 장면은 보기 드문 현상이 아니다.
일본 신화를 문헌의 형태로 전하고 있는 《고사기(古事記)》 상권(上卷)과 《일본서기(日本書紀)》 신대권(神代卷)에 수록된 공통 분모에 해당하는 전승을 뽑아 이를 체계적으로 이은 신화를 일본에서는 흔히 ‘기기(記紀) 신화’라고 부른다. 그중에서도 《고사기》는 일본 문화에 세 가지의 가치와 매력을 전하고 있다. 첫째, 일본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알려져 있다는 점이다. 그 자체만으로도 특별한 역사적 지위와 가치가 있으며 명실상부한 일본의 정신문화유산 제1호라 할 수있다. 둘째, 《고사기》는 일본에 다양한 신이 있으며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가 현실에서 연결되었다고 주장한 최초의 고전이라는 점이다. 일본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일본열도에 인간세계가 출현하기 이전 신화 세계에 도달한다는 것이며, 일본인의 기원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그것은 낭만적이면서도 권위 있는 상상력의 거점으로 작용한다. 셋째, 《고사기》는 일본의 고어(古語) 즉, ‘네이티브 일본어’의 보고(寶庫)라는 점이다. 언어는 생각의 집이라는 말이 있듯이 일본인의 사고방식과 상상력은 옛 일본어라는 집에서 배양되고 발효되어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고사기》는 옛 일본어를 기반으로 문화적 생명력을 배양하면서 오늘날에도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형태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창조되는 원천이라 할 수 있다. 본서는 일본인의 상상력과 일본문화의 원천이자 보고라 할 수 있는《고사기》를 깊이 읽음으로써 일본 신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법을 제시할 것이다.
들어가며
일러두기
1장 다카아마하라(高天原)와 천신들
1. 특별한 다섯 천신
2. 칠대(七代) 신들의 출현
깊이 읽기 (01) 신들의 무대, 다카아마하라(高天原)
깊이 읽기 (02) ‘무스비(むすび)’로 보는 신화와 현대의 만남
2장 이자나키(伊耶那岐命)와 이자나미(伊耶那美命)
1. 오노고로섬(淤能碁呂島)
2. 두 신의 교합
3. 여러 섬(島) 낳기
4. 여러 신(神) 낳기
5. 화신(火神) 피살
깊이 읽기 (03) 신화 속 사랑과 결혼, 이자나키·이자나미가 남긴 교합이야기
깊이 읽기 (04) 오야시마쿠니(大八島国), 그 섬들은 우연이 아니다?!
깊이 읽기 (05) 이자나키와 이자나미가 낳은 신은 왜 35신인가
깊이 읽기 (06) 살해된 카구쓰치의 몸에서 생겨난 신들
3장 요모쓰쿠니(黄泉国)와 미소기(禊)
1. 요모쓰쿠니
2. 미소기와 삼귀자
깊이 읽기 (07) 사랑하는 이를 쫓아 저세상으로‒요모쓰쿠니(黄泉国)
깊이 읽기 (08) 목욕과 정화, 미소기(禊)
4장 아마테라스(天照大御神)와 스사노오(須佐之男命)
1. 우케이(宇気比)
2. 스사노오의 난동
3. 아마이와야(天石屋)
깊이 읽기 (09) ‘우케이(宇気比)’, 누가 옳은지 겨루어 보자!
깊이 읽기 (10) 신이 깃든 오키섬(沖ノ島) 그리고 무나카타(胸形)
깊이 읽기 (11) 아마이와야(天石屋)에서 거듭난 태양신 아마테라스(天照大御神)
5장 스사노오와 이즈모(出雲)
1. 양잠과 오곡의 기원
2. 이즈모로 간 스사노오
3. 괴수 오로치(八俣遠呂知) 퇴치
4. 스사노오의 이즈모 정착과 계보
깊이 읽기 (12) 《고사기(古事記)》부터 《호빵맨》까지, 일본의 팥 문화
깊이 읽기 (13) 지상 세계의 통치자, 오쿠니누시(大国主神) 서사의 명암
6장 오쿠니누시(大国主神)의 나라 통합
1. 이나바(稲羽)의 벌거숭이 토끼
2. 형제들의 핍박
3. 네노카타스쿠니(根堅州国)에서의 시련
4. 누나카와히메(沼河比売)와의 만남
5. 스세리비메(須勢理毘売)의 질투
6. 오쿠니누시(大国主神) 계보
7. 스쿠나비코나(少名毘古那神)의 도움
8. 오토시(大年神) 계보
깊이 읽기 (14) 와니, ‘상어’인가? ‘악어’인가?
깊이 읽기 (15) 복합적 공간, 네노카타스쿠니(根堅州国)
깊이 읽기 (16) ‘国’의 두 얼굴, 신화적 성역인가, 정치적 영토인가?
7장 아시하라나카쓰쿠니(葦原中国) 정복
1. 첫 번째 파견‒아마호히(天菩比神)
2. 두 번째 파견‒아마와카히코(天若日子)
3. 마지막 파견‒다케미카즈치(建御雷神)
4. 고토시로누시(事代主神)의 굴복
5. 다케미나카타(建御名方神)의 항복
6. 오쿠니누시(大国主神)의 나라 헌납
깊이 읽기 (17) 신들의 ‘공간’에서 인간의 ‘나라’로, 아시하라나카쓰쿠니(葦原中国)
깊이 읽기 (18)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 거대 신사의 전승 속 비밀
8장 천손, 히코호노니니기(日子番能邇々芸命)
1. 천손의 탄생
2. 사루타비코(猿田毘古神)의 선도
3. 천손강림(天孫降臨)
4. 사루타비코와 아마우즈메(天宇受売神)
5.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木花之佐久夜毘売)
6. 히코호노니니기의 계보
깊이 읽기 (19) 정통성의 상징, 삼종신기(三種神器)
깊이 읽기 (20) 아마테라스(天照大御神)와 이세 신궁(伊勢神宮)
깊이 읽기 (21) 하룻밤 임신 이야기
9장 우미사치(海佐知)·야마사치(山佐知)
1. 사치(佐知) 교환
2. 야마사치의 해궁 방문
3. 우미사치의 복종
4. 도요타마비메(豊玉毘売命)의 출산
5. 초대 천황(天皇)의 탄생
깊이 읽기 (22) 도코요쿠니(常世国)에 담긴 세 이미지
깊이 읽기 (23) 우나하라(海原), 왕권을 낳은 물결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