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일문중문

  • 중국 개혁개방과 신조어

    저자 최윤경
    정가 17000원

상세정보

이 책은 현대중국어의 근본적이고 단순한 의미에 대하여 질문을 던지면서 시작하고 있으며,
1978년 중국의 개혁개방은 중국 현대사의 한 획을 긋는 사건이 되었다. 냉전체제의 종식을 고하는 서곡인 셈이다. 이를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분야가 대격변을 겪게 되었으며, 이것은 이 시대의 언어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소위 신시기新時期라고 일컬어지는 중국 개혁개방 이후 현대 사회에 등장한 신조어는 낱말의 시대적 특성과 차이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 책에서는 신조어를 통해서 현대 중국어가 무엇인지 그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제1부에서는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신조어에 대한 연구를 개괄하여 기존의 연구 동향 및 본서의 연구방향을 서술하였다.
제2부에서는 우선 신시기 신조어란 무엇인지 그 정의를 제시하고, 인지적 관점에서 신조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 과정을 청자와 화자의 입장을 통하여 밝혔다.
제3부에서는 신조어의 연원淵源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들 신조어의 사용이 중국어 언어체계에 미치는 영향과 어떤 각도에서 신조어를 바라보아야 하는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제4부는 신시기의 또 한 차례 큰 흐름인 인터넷 보편화 시대의 개막을 통한 인터넷 신조어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제5부에서는 앞에서 고찰한 신시기 신조어가 형성된 틀을 기본으로 하여 이것들이 어떻게 전파되는가 혹은 어떤 전파과정을 통해서 신조어로서의 틀을 형성하게 되는가 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제6부에서는 신시기 신조어사전을 분석하여 신조어의 유형과 신조어사전의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 책머리에
    범례

    제1부 개혁개방과 신조어 연구
    제1장 머리말
    제2장 개혁개방 이후 신조어 연구 동향

    제2부 신조어의 정의와 형성
    제1장 신조어의 정의
    제1절 신시기 신조어의 수량
    제2절 신조어의 요건
    제3절 기존의 신조어 정의
    제4절 본서에서의 신조어 정의
    제2장 인지적 관점에서 본 신조어의 형성
    제1절 화자의 관점에서 본 신조어의 형성
    제2절 청자의 관점에서 본 신조어의 형성
    제3절 인지와 신조어 여부의 판단
    제3장 신조어의 유형
    제1절 형식상 유형
    제2절 신의어(新義語) 유형

    제3부 신조어의 연원(淵源)
    제1장 새롭게 창신(創新)된 신조어
    제1절 기본유형
    제2절 비한자부호 신조어
    제3절 신조어의 의미 특징
    제2장 고어에서 기인하는 신조어
    제3장 사회방언에서 흡수된 신조어
    제4장 외래 신조어
    제1절 외래 신조어의 정의
    제2절 외래어의 유형
    제3절 신시기 외래어의 형성과정
    제5장 방언에서 유래하는 신조어
    제1절 『現代漢語詞典』에 수록된 방언 신조어-1
    제2절 『現代漢語詞典』에 수록된 방언 신조어-2
    제3절 『現代漢語詞典』에 실리지 않은 신조어
    제4절 방언에서 유래한 신조어의 음운특징

    제4부 인터넷과 신조어
    제1장 인터넷상의 신조어
    제2장 인터넷상의 신조어의 종류
    제1절 전문적 색채를 띠는 인터넷 용어
    제2절 채팅언어
    제3장 이모티콘
    제1절 이모티콘이란?
    제2절 이모티콘의 유형
    제3절 이모티콘의 종류
    제4절 기호학과 이모티콘
    제5절 도상성과 이모티콘
    제6절 은유와 이모티콘

    제5부 신조어의 전파 양상
    제1장 기본모형
    제2장 중심점 이동 모형
    제3장 전파미디어 모형
    제4장 가상공간 모형

    제6부 신시기 신조어사전 분석
    제1장 신시기 신조어사전에 수록된 신조어의 분류
    제1절 서면형식으로 본 신조어의 구조-한자어와 비한자어
    제2절 음절구조로 본 신조어-단음절어와 다음절어
    제3절 형태소 구성으로 본 신조어 구조-단순어와 합성어
    제4절 품사에 의한 분류
    제2장 신조어사전의 시간 범위
    제3장 신시기 신조어사전의 무제점
    제1절 옛말의 문제
    제2절 파롤(parole)의 문제
    제3절 구(句)의 문제

    참고문헌
    부록 : 「개혁개방 이후 신조어 5,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