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일문중문

  • 해석의 정치학

    저자 박상현
    정가 11000원

상세정보

현대를 사는 일본인들은 대개 일본민족을 단일민족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일본 역사를 조망해 보면, 일본민족을 규정했던 민족론으로는 단일민족론과 혼합민족론이 시소게임을 하듯이 반복되어 왔다. 즉 일본이 서구의 충격에 노출된 시기에는 단일민족론이 우세했고, 대 일본제국시대에는 혼합민족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다가 패전 후인 제2차 대전 후에는 단일민족론이 다시 주도권을 잡았다.
이와 같은 일본민족론에 대한 연구에는 크게 2가지의 접근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단일민족론과 혼합민족론 가운데 어느 것이 타당한가를 묻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이런 양자택일이 아니라 각각의 민족론이 배태되고 인식되게 된 배경을 문제 삼는 것이다.
본서에서 필자의 관심은 어떤 대상에 대한 특정한 견해가 옳은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에 있지 않다. 오히려 왜 그 시기에 그와 같은 견해가 발생했는가에 있다. 즉 ‘해석’을 가치중립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그 정치성을 파헤치고자 하는 것에 있다.

 

 

  • 제1부 해석의 정치학
    01 들어가면서
    02 "만엽집"과 병사의 노래
    03 병사의 노래를 인식하는 3가지 시선
    1 요시노 유타카의 ‘병사의 노래’
    2 마스다 카쓰미의 ‘병사의 노래’
    3 미사키 히사시의 ‘병사의 노래’
    04 나오면서
    ‘일원화’를 넘어 ‘다원성’의 회복으로

    제2부 병사의 노래에 관한 보론
    01 병사의 노래 수용사 : 전근대
    1 들어가면서
    2 나라시대의 ‘병사의 노래’
    3 에도시대의 ‘병사의 노래’
    4 나오면서
    02 병사의 노래의 서정 세계
    1 들어가면서
    2 병사의 노래의 서정 세계
    3 나오면서
    03 병사의 노래와 현대 일본 비판
    1 ‘병사의 노래’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2 일본인에 대한 상반된 이미지
    3 한국과 일본의 국가주의
    4 한일 양국의 우호증진을 위하여
    04 병사의 노래에 관한 한․일 연구자의 대담

    제3부 병사의 노래 작품군

    제4부 부록
    01 일본어 원문(1)
    02 일본어 원문(2)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