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일문중문

  • 재일 동포 문학과 디아스포라 2

    저자 전북대학교 재일동포연구소
    정가 21000원

상세정보

  • 머리말

    1. 분단에서 이산離散으로 - 「재일조선인문학」의 행로 / 가와무라 미나토 川村湊

    2. 재일 시인의 시세계(1) - 해방부터 1965년까지 / 사가와 아키 佐川亞紀
    1. 서론
    2. 초기를 대표하는 시인·허남기
    3. 재일시 확립의 시작·김시종과 동인지 활동
    4. 점재된 예술파·김태중, 최현석

    3. <재일>문학 여성작가·시인 / 이소가이 지로 磯貝治良
    1. 남성중심의 문학에서 여성작가의 대두
    2. 민족주의와 병행하는 가족·나·性의 이야기 - 1970~80년대
    3. 소년소녀 문학과 논픽션계 문학의 작가

    4. 재일문학과 단가 - 한무부韓武夫를 중심으로 / 다카야나기 도시오 高柳俊男
    1. 서론
    2. 한무부의 성장과정
    3. 한무부의 단가에 대해
    4. 재일조선인 문학 속의 단가

    5. 정연규의 삶과 문학 -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 김태옥
    1. 서론
    2. 1920년대 중반의 저작 활동
    3. 1930년대의 저작활동
    4. 결론

    6. 「재일 조선인문학」과 김태생金泰生의 풍경 / 하야시 고지 林浩治
    1. 서론
    2. 고향의 풍경
    3. 재일의 풍경
    4. 증오스러운 쿄토
    5. 전후의 풍경
    6. 요양소의 풍경
    7. 정치의 계절
    8. 주목받는 재일조선인문학
    9. 정주定住한 도시
    10. 일본사회에 정주하여 연대連帶하다
    11. 결론

    7. 다치하라 마사아키立原正秋의 미의식과 소설적 형상 / 김정혜
    1. 서론
    2. 고향의 심상心象 풍경과 가마쿠라의 선사禪寺
    3. 조선백자와 히로인 사토코
    4. 재일 코리언과 문화
    5. 결론

    8. 양석일의 다양한 문학세계 / 이한창
    1. 서론
    2. 양석일의 다양한 작품 활동
    3. 양석일의 작품세계
    4. 양석일 문학의 본질
    5. 결론

    9. 문학교육과 디아스포라 / 변화영
    1. 초국가주의 시대의 민족 정체성
    2.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에서 길 찾기
    3. '타자'와 '우리'를 통해 정체성 드러내기
    4. 디아스포라의 문학 교육적 함의
    5. 대화의 창으로써 재일한인 소설

    10. 高史明文學 硏究 - 作品을 中心으로 / 추석민
    1. 서론
    2. 高史明과 前期의 作品
    3. 後期의 作品
    4. 결론

    11. 사기사와 메구무鷺澤?의 문학 세계 / 김환기
    1. 서론
    2. 재일성의 문학적 형상화
    3. 고행으로의 회귀의식과 실존
    4. 젊은이의 언어, 감각, 문학
    5. 결론

    12. 유미리의 작가적 지향의식 - 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정혜
    1. 서론
    2. 작품을 쓰는 동기
    3. 허구와 사실과의 관계
    4. 연보·작품목록·선집간행·번역
    5. 작품의 특징
    6. 「재일」이라는 하는 것에 대하여
    7. 작품목록
    8. 대표작품과의 비교검토
    9. 결론

    13. 기억과 서사 - 유미리의 『8월의 저편』 / 변화영
    1. 기억과 정체성
    2. 서사의 역사
    3. 공간과 집합기억
    4. 시간과 가족
    5. 기억 속의 사람들
    6. 디아스포라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

    14. 현월玄月의 「나쁜 소문惡い?」 - 료이치凉一의 변화과정 추적을 통한 읽기 / 황봉모
    1. 서론
    2. 료이치의 변화과정 추적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