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독도학

  • 문헌상의 독도

상세정보

일본제국은 서구열강과 교류하며 습득한 국가경영의 방법으로 왜구들의 가치를 채택하였고, 그 가치는 선진문명으로 그들을 개화시켰던 우리의 선조들과는 크게 다르게, 비논리적 주장을 일삼고 있다. 1905년부터 〈독도〉에 대한 우리의 역사적 정통성을 부정하며 영유를 주장하더니 현재도 철회하지 않고 있다. 그것은 국제분쟁을 통해 패한 적이 없는 그들의 경험을 믿기 때문일 것이다. 근자에도 일본은 〈석도〉가 〈독도〉라는 사실을 입증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본서는 일본의 비논리적 주장에 개의치 않고, 역사적 문헌에 근거한 우리 〈독도〉의 정통성을 확고히 구축하고자 한다.

 

 

  • 제1장 3세기의 울릉도
    제2장 국가로서의 우산국
    제3장 우산국의 종교와 독도
    제4장 신라의 천하와 우산국
    제5장 ?고려사?의 우산국과 무릉도
    제6장 ?태종실록?의 정동해중
    제7장 ?세종실록?의 우산무릉 -풍설의 요도-
    제8장 ?성종실록?의 삼봉도
    제9장 정동해중의 군장 -울릉자산양도감세장 안용복-
    제10장 안용복의 실상
    제11장 안용복의 비변사 진술
    제12장 금오승장 뇌헌과 안용복
    제13장 납치된 안용복의 영토 인식
    제14장 안용복의 강호행과 관백의 서계
    제15장 안용복과 강호막부의 독도인식
    제16장 ?장생죽도기?의 천하
    제17장 ?죽도도해일건기?전?의 도해와 밀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