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전쟁·재해·식민지주의와 서벌턴 -일본사회의 서벌턴 연구 4

    저자 고미네 가즈아키 , 스즈키 아키라 , 김미진 , 이시하라 마이 , 서재곤 , 박상도 , 가게모토 쓰요시
    정가 15,000원

상세정보

‘서벌턴(Subaltern)’은 안토니오 그람시가 ‘프롤레타리아’라는 말을 대신해서 썼던 용어로, 1980년대 초 인도의 역사학자 라나지트 구하(Ranajit Guha)를 비롯한 일군의 역사학자들이 모여 기존의 식민주의적,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왔던 인도의 역사 해석을 비판하고, 그동안 역사의 주체가 되지 못했던 인도 인민의 입장을 부각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을 ‘서벌턴’이라 지칭하며 연구를 시작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한일 양국의 서벌턴 문제는 역사적 사건을 공유하며 정치ㆍ경제적으로 복잡한 관계망 속에 초국가적으로 얽혀있다. 서벌턴은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사회 체제의 최하층과 말단 주변부에 존재해왔으며 지금도 존재하고 있다. 이에 한일의 역사적, 문화적 특수 관계 속에서 핵심 관련자인 일본의 서벌턴 문제에 천착하여 창출한 연구성과를 엮은 본서가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의 서벌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제1장 일본 고전에서 보이는 차별
    - 『금석이야기집(今昔物語集)』이라는 창문을 통해
    제2장 「테루마・가쿠세이」 소고
    - 분로쿠(文禄) ・ 게이초(慶長) 전란 포로를 구분했던 어휘에 대해서
    제3장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무사시아부미(むさしあぶみ)』를 중심으로
    제4장 일본의 「덤불 속」
    - 선주민 페미니즘의 발아와 일본 식민지주의 그리고 그 망각
    제5장 기하라 고이치(木原孝一) 시에 나타난 〈집단 죽음(集団死)〉 연구
    - 서벌턴적 관점을 중심으로
    제6장 일본 프롤레타리아 시의 서벌턴 연구
    - 「살아있는 총가」「간도빨치산의 노래」를 중심으로
    제7장 조선인과 대면한 전후 민주주의 지식인
    - 오사와 신이치로(大澤真一郎)의 삶과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