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벌턴(Subaltern)’은 안토니오 그람시가 ‘프롤레타리아’라는 말을 대신해서 썼던 용어로, 1980년대 초 인도의 역사학자 라나지트 구하(Ranajit Guha)를 비롯한 일군의 역사학자들이 모여 기존의 식민주의적,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왔던 인도의 역사 해석을 비판하고, 그동안 역사의 주체가 되지 못했던 인도 인민의 입장을 부각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을 ‘서벌턴’이라 지칭하며 연구를 시작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한일 양국의 서벌턴 문제는 역사적 사건을 공유하며 정치ㆍ경제적으로 복잡한 관계망 속에 초국가적으로 얽혀있다. 서벌턴은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사회 체제의 최하층과 말단 주변부에 존재해왔으며 지금도 존재하고 있다. 이에 한일의 역사적, 문화적 특수 관계 속에서 핵심 관련자인 일본의 서벌턴 문제에 천착하여 창출한 연구성과를 엮은 본서가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의 서벌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머리말
제1장 일본 천황제 하의 서벌턴
1. 머리말-서벌턴론에 대한 접근
2. 세 가지 과제
3. 인류관(人類館) 사건 -같은 아시아인에 대한 차별의 상징적 사례로서
4. 일본 천황제의 식민지 지매와 서벌턴
5. 서벌턴의 주체화에 대해서
6. 맺음말-다시 서벌턴의 정의를 둘러싸고
제2장 일본 Nation Building의 탈구축
-비(非) 야마토 민족 서벌턴의 주체화 시도에 주목하면서-
1. 머리말
2. 동아시아에서의 용어 '민족'의 탄생과 개념의 혼란
3. 야마토 주체의 Nation Buiding과 그 허구
4. 비(非) 야마토 민족 서벌턴의 주변화
5. 다양성을 불가시화하는 단일민족 국가론
6. 서벌턴으로서의 에미시와 그 주체화 시도
7. 맺음말
제3장 정치적 주체의 불/가능성
-오키나와 서발턴의 ‘자기 결정권’-
1. 머리말
2. 오키나와 서발턴의 구조적 차별
3. 오키나와의 저항운동-복귀론과 반복귀론
4. '자기 결정권'은가능한가?
5. 맺음말
제4장 改名으로 본 在日 트랜스내셔널 서벌턴의 삶
1. 머리말
2. 이름(姓+名)의 일본적 특징
3. 고대 한반도 渡日人의 姓
4. 조선 被虜人 陶工의 이름
5. 在日 코리안의 改名
6. 맺음말
제5장 일본 유아교육에서의 ICT 교육과 휴머니티
-서벌턴 측면에서의 고찰-
1. 머리말
2. ICT 교육과 휴머니티
3. 유아교육과 ICT 교육
4. 유아의 ICT 교육 재고
5. 맺음말
제6장 트랜스내셔널 서벌턴의 ‘주체화’에 관한 고찰
-오키나와의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 배봉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의 '서벌터니티(Subalternity)'
3. '트랜스내셔널 서벌턴' 배봉기
4. '트랜스내셔널 서벌턴'의 불가시화와 주체화
5. 맺음말
제7장 〈서평〉 오세종의 『오키나와와 조선의 틈새에서』를 통해 본 트랜스내셔널 서벌턴 고찰
-식민지주의 위계질서 속 오키나와의 조선인-
1. 머리말
2. 오키나와전쟁과 조선인 '군부'
3. 오키나와전쟁과 조선인 '위안부'
4. 전후 오키나와의 조선인
5. 오키나와 내 저항을 통한 주체화의 가능성 모색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