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일본거주 조선인의 차별 저항사

    저자 김광열
    정가 25000원

상세정보

-1920~30년대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이 책은 현재 ‘특별영주’라는 법적 지위로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조선인의 1세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1920~30년대에 차별에 저항하며 감행했던 노동운동의 실태를 조명했다.

일본에서 조선인은 1945년 8월 전과 후를 막론하고 한반도 국가와 일본열도 국가 사이에서 경계인으로 존재했으며 그 연장선에서 일본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의 1세가 일본에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 발효 이후라고 할 수 있으니, 그 역사연구의 대상 시기는 총 110년이 넘는 긴 시간대가 된다. 따라서 그들 관련의 역사 연구에서 ‘일본 거주자로서의 특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후 일본에서 재일본조선인연맹 등의 조선인 단체가 수년간 일본인 사회주의 단체와 연계하여 운동을 전개한 것은 돌발적인 선택이 아니었다. 즉 혼란스러운 국제정세 하에서, 이미 1930년대 일본에서 민족을 초월하여 공동으로 전개했던 운동의 경험을 계승한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30년대 전반과 중기의 일본에서 조선인들에 의해 전개된 노동운동을 사실 그대로 주목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서는 그러한 시점에 입각하여 1945년 이전 일본거주 조선인이 차별에 저항하며 전개했던 노동운동을 검토한 것이다.

 

서장

제1장 1910년~1940년 일본거주 조선인의 인구, 집중 거주지, 직업의 변화

1. 들어가며

2. 1920년 일본거주 조선인의 주된 거주지와 직업

3. 1925년 일본거주 조선인의 주된 거주지와 직업—대도시 주변에 집중

4. 1930년 일본거주 조선인의 주된 거주지와 직업—집중 거주지의 형성

5. 1935년 일본거주 조선인의 주된 거주지와 직업—일정 지역에 장기 거주자 증가

6. 1940년 일본거주 조선인의 주된 거주지와 직업—정주화 경향의 확산

7. 소결

 

제2장 일본거주 조선인의 주거, 취로, 생활 양태

1. 주거 상황

2. 노동 환경 및 생활 상황

3. 6대 도시의 공공 실업구제 토목사업에 취로한 조선인의 상황

4. 소결

 

제3장 1920~1930년대 일본거주 조선인의 출신 계층과 교육 수준

1. 들어가며

2. 도일 조선인의 경제적 상황

3. 일본거주 조선인의 교육 수준

4. 소결

 

제4장 1920년대 전반 일본거주 조선인의 사회운동

1. 들어가며

2. 1920년대 초 일본 사회운동의 동향

3. 도쿄거주 조선인 학생의 거주 상황과 사회사상에 대한 관심

4. 흑도회의 활동

5. 소결

 

제5장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전반 일본거주 조선인의 노동운동

1. 들어가며

2. 1920년대 일본거주 조선인의 노동운동과 일본 노동운동계 상황

3. 1930~1934년 전협 산하의 조직 상황과 조선인 조합원

4. 소결

 

제6장 1930년대 초중기 일본거주 조선인 노동운동의 실태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29~30년 나고야거주 조선인의 노동조합 설립

3. 1930년대 전반, 전협 중부지방협의회 나고야지부의 조선인 운동

4. 1930년대 중기 나고야합동노동조합에 의한 운동

5. 나고야합동노동조합과 일본 주부(中部)지방 사회운동

6. 소결

 

제7장 일본거주 조선인 노동운동가와 민족차별

—1930년대의 노동운동 활동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20~30년대 일본거주 조선인 노동운동의 변화

3. 조선인 노동운동가의 특질과 일본사회의 민족차별

4. 소결

 

저자 후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