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일본 생활세계의 동요와 공공적 실천

    저자 박지환 외
    정가 21000원

상세정보

1990년대 이후 유동화하고 있는 일본사회의 현실과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와 같은 구조적 변화를 일본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생활세계 속에서 어떻게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어떤 식으로 대처하고 있는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일본사회의 유동화는 두 가지 구조적 전환, 즉 포스트 공업사회화와 소자고령화·다민족화라는 인구학적 변화로부터 비롯된 사건이다. 이 책은 시민사회의 질적 변화, 고령자와 다문화 집단의 대두, 그리고 특정 세대에서 발생하는 불평등의 문제와 같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전후 일본사회의 구조가 생활세계의 차원에서부터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전후 체제의 구조적 변용(變容)을 기술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이러한 변화가 촉발한 공공성의 재편 양상, 구체적으로는 중앙 정부, 지역자치단체, 시민사회 간의 관계를 새롭게 사고하는 담론과 이러한 다양한 주체들 간에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실천의 형태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1990년대 이후 유동화하고 있는 일본사회의 현실과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와 같은 구조적 변화를 일본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생활세계 속에서 어떻게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어떤 식으로 대처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서문/ 포스트 전후체제로의 전환과 공공성의 재편

<제1부> 고령자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1. 어디에서 살 것인가
2. Aging in Place 이념
3. 고령자 주거정책의 변천과 특징
4. 주거정책 고찰①: AIP이념의 도입 맥락
5. 주거정책 고찰②: 진정한 AIP 이념의 실현
6. 고령자 주거정책의 재정립을 위해

<제2부> 고령화하는 센리뉴타운의 지역조직
1. 일본 도시의 지역조직
2. 뉴타운이라는 고향
3. 지역조직에서의 사회적 유대 형성
4. 도시 지역조직에 대한 비교문화론

<제3부> 오사카 시 홈리스 지원운동의 전개와 변형
1. 파견마을의 새로움과 친숙함
2. NPO의 기능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가마가사키와 홈리스 지원운동 성립의 맥락
4. 가마가사키 홈리스 지원운동의 전개
5. 가마가사키 홈리스 지원운동의 변형
6. 공공성의 재구성과 주체성

<제4부> 청년 홈리스와 관계의 빈곤
1. 청년 홈리스의 등장
2. 부족한 자원과 취약한 관계: 홈리스 이전의 삶
3. 관계의 단절과 홈리스로의 진입
4. 관계의 형성과 탈홈리스
5. 관계 자원의 지원과 탈홈리스

<제5부> 일계 브라질인의 취업 변화와 개호
1. 글로벌 금융 위기와 재일 일계 브라질인
2. 개호 노동자의 국제 이동과 재일 일계 브라질인, 그리고 ‘인재’
3. 재일 일계 브라질인의 실업과 재취업
4. 개호 ‘인재’ 레토릭과 재일 일계 브라질인
5. 재일 일계 브라질인은 진정한 개호 ‘인재’인가?
6. 재일 일계 브라질인을 둘러싼 현실의 비판적 검토

<제6부> 재일코리안의 특별영주제도 논쟁
1. 특권집단으로서 재현된 재일코리안
2. 재일코리안의 재류자격의 역사
3. 특별영주제도의 제정과정과 현황
4. ‘특례귀화’ 추진과 ‘코리아계 일본인’의 대두
5. 외국인관리정책의 강화와 주민기본대장의 개정
6. 특별영주제도의 의의와 새로운 가능성

<제7부> 다문화정책과 지역사회의 실천
1. 정책으로서의 다문화주의
2. 일본의 다문화주의: 지역의 경험으로부터
3. ‘다문화공생’의 정책적 차용
4. 다문화공생 프로젝트의 지역적 존재방식
5. 실제적인 삶의 중심에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