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격차 에스닉 커뮤니티
이 책은 ‘도쿄 메트로폴리스’에 주목하여, 현대 일본의 생활세계가 역동적으로 재편되는 모습을 탐색해보고자 한 것이다.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는 탈냉전, 지구화 등 구조변동이 진행되고, 일본에서는 거품경제 붕괴 후 장기화된 경제침체와 함께 급속한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활력의 상실이 우려되는 가운데 시스템 개혁이 모색되었다. ‘잃어버린 10년’, ‘잃어버린 20년’으로 단순화되어 ‘정체’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1990년대 이후 일본사회는 중대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우리의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변화가 생활세계에서 구체적으로 전개되는 다양한 양상을 경험적으로 탐구함으로써, 거시적인 구조변동이 일본인의 생활세계를 어떻게 재편시키고 있는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그려내고자 한 시도다. 이 책에서는 공공성과 시민사회의 재편, 고령화, 도시개발, 지방분권, 격차와 빈곤, 청년층 고용 문제, 산업구조 전환, 다민족ㆍ다문화화 등 다양한 주제들이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현대 일본의 생활세계에서 공동체의 틀을 구성하고 살아가는 것과 관련된 문제, 생활을 위한 소득을 얻는 동시에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존엄을 확보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 정체성을 형성하고 재구축하며 살아가는 것과 관련된 문제 등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서문/ 도쿄 메트로폴리스
제1부 행정개혁과 시민사회
01/ 새로운 ‘공공’ 창출의 논리와 구조-가와사키시의 정책과 시민활동을 중심으로
1. 새로운 공공론
2. ‘협동’ 개념의 대두
3. 행재정 개혁의 요구와 ‘새로운 공공’의 논리
4. 포스트혁신시정의 행재정 개혁과 「자치기본조례」의 성립
5. 시민활동 지원의 기본방향과 체계
6. 시민활동 단체 사례
7. 새로운 공공론과 시민사회의 변화
02/ 타마뉴타운의 인구전환과 시민사회
1. 뉴타운 개발 속의 타마
2. 타마뉴타운 개발의 논리와 역사
3. 타마뉴타운의 인구전환과 주택시장
4. 타마뉴타운의 활성화 모색
5. 타마뉴타운의 현재적 의의와 시민사회
03/ 2016년 도쿄올림픽의 좌절과 도시의 정치경제
1. 저성장시대, 2016년 도쿄올림픽 유치
2. 21세기 올림픽과 도시정치
3. 2016년 도쿄올림픽 유치활동
4. 2016도쿄올림픽 유치 좌절
5. 저성장시대, 메가 이벤트와 대도시권 네트워크의 변화
04/ 수도권 행정구역 개편의 지역적 특성과 유형
1. 행정구역 재편의 문제제기
2. 헤세 시정촌 통합의 현황
3. 행정구역 통합 논리와 수도권의 특성
4. 수도권 시정촌의 통합 유형
5. 수도권 통합 시정촌의 지역개발 전략
6. 대도시권 행정구역 재편의 특성과 다양성
제2부 격차사회와 고용
05/ 격차사회ㆍ근로빈곤층문제에 대한 지역의 대응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에서의 공계약조례 제정운동을 중심으로
1. 격차와 근로빈곤층의 문제의 사회화ㆍ정치화
2. 공계약조례(법) 제정운동의 의의와 등장 배경
3. 공계약조례(법) 제정운동의 전국적 현황
4. 공계약조례 제정 사례
5. 공계약조례를 둘러싼 법적 쟁점
6. 신주의주의적 구조개혁에 맞서는 공계약조례운동
06/ 녹지 않는 빙하와 도쿄청년노동시장
1. 극한으로 내몰린 청년들
2. 선행연구 검토
3. 인구학적 특성
4. 취업 상황
5. 고용안정성
6. 노동조건
7. 청년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생활보장체계
07/ 일본 오타지역의 마치고바와 숙련공의 성격 변화
1. 마치고바의 모노즈쿠리와 숙련공
2. 시각과 출처
3. 전후 숙련공의 성격 변화 과정
4. 마치고바와 숙련의 재평가
제3부 변화하는 에스닉 커뮤니티
08/ 도쿄도정과 재일조선인 시책
1. 국제도시 도쿄와 재일외국인
2. 도정 수준의 재일외국인 시책과 에스닉 정책의 형성
3. 이시하라 도정의 대 총련 시책과 에스닉 정책의 변화
4. 지체되는 다문화공생의 청사진
09/ 요코하마의 에스닉 미디어와 다문화공생의 딜레마
1. 에스닉 미디어, ‘다문화 사회’ 일본을 보는 창(窓)
2. 요코하마 에스닉 미디어의 역사와 현황
3. 에스닉 미디어 활성화를 위한 ‘일본인’ 사회의 대응
4. 에스닉 미디어와 에스닉 마이너리티 집단의 자기표상
5. 다문화공생의 딜레마
10/ 도쿄 신오쿠보 에스닉 커뮤니티의 성장과 지역사회
1. 일본의 에스닉 커뮤니티 성장
2. 신오쿠보 한인 상권의 특성 및 변화
3. 신오쿠보의 지역 특성 변화
4. 다문화공생과 한인 커뮤니티
5. 한류와 한인상권
〈부록〉 통계로 보는 수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