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전환기, 도시문화공간을 생산하다

    저자 조영승
    정가 16000원

상세정보

『전환기, 도시문화공간을 생산하다』는 〈도시공간〉 관련 이론의 제시와 중국과 해외의 〈도시문화공간〉의 성공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전환기를 맞아 도시재생의 한 부분으로 구체적인 도시문화공간을 생산하는 과정과 이미 생산된 도시문화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등을 토대로, 현 단계에서 도시문화공간을 문화공간답게 구축할 수 있는가를 알아본다. 사례 고찰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유럽의 성공사례를 선정한 후 도시문화공간을 역사ㆍ문화공간과 창의공간으로 구분하여 조사ㆍ분석하여 〈공간생산〉 이론을 이론적인 영역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공간의 생산이라는 이론적 인식을 바탕으로 실제 사례와 연계시켜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기본 모델을 제시하여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제3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사회ㆍ문화적 이론
    제1절 중국에서 전환기 개념의 등장과 문화전환
    제2절 전환기 도시공간의 변화
    제3절 이론적 배경: ‘공간생산’ 이론을 중심으로
    제4절 도시문화공간 생산의 구성 요소

    〈제3장〉 공간생산을 위한 중국 국내와 해외 사례 분석
    제1절 공간생산을 위한 중국 내 성공사례
    제2절 공간생산을 위한 동아시아 사례
    제3절 공간생산을 위한 유럽 사례
    제4절 소결

    〈제4장〉 청두시 문화산업 및 도시문화공간 분석
    제1절 청두시와 청두시 문화산업
    제2절 역사ㆍ문화공간으로서의 ‘콴자이샹즈’
    제3절 문화창의공간으로서의 ‘동교기억’
    제4절 청두시 도시문화공간의 공간생산 한계점

    〈제5장〉 청두시 도시문화공간의 공간생산 방안
    제1절 도시문화공간 생산 패러다임의 변화
    제2절 콴자이샹즈 역사ㆍ문화공간의 공간생산에 대한 제안
    제3절 ‘동교기억’ 문화창의산업단지의 공간생산에 대한 제안

    〈제6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