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판소리와 판소리문화

    저자 김석배
    정가 29000원

상세정보

이 책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여러 지면에 발표한 판소리 및 판소리문화와 관련된 글들을 한자리에 모은 것이다.
제1부는 신재효와 19세기 후기의 판소리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1장에서는 19세기 후기 판소리 창단의 중심에 서서 이론가, 교육자, 후원자로서 소리꾼들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동리 신재효의 판소리 지원 활동과 그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4장에서는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이 김창환제 춘향가, 흥보가, 심청가에 끼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부는 판소리 더늠의 역사와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소개된 더늠의 실상을 살펴본 것이다. 1장에서는 더늠의 전반적 성격을 두루 살펴 판소리사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더늠 이해에 이바지하였다. 2장에서는 「조선창극사」 소재 더늠 중에는 창자의 소리를 소개한 것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여러 이본을 저본으로 하여 소개한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더늠에 대한 미련을 차마 버리지 못하고 붙들고 있었던 인내의 결과이다.
제3부는 판소리가 후대로 전승되는 양상을 살펴본 것으로 판소리사의 한 단면을 이해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1장에서는 박록주 흥보가가 정립되는 과정과 사설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2장에서는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의 전승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4부는 판소리 음반에 대해 살펴본 것으로 음반 문화에 대한 이해에 일조하였다. 1장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발매된 유성기음반의 쑥대머리, 중타령, 소상팔경가가 어떤 변화를 겪었던가를 여러 명창의 음반을 통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음반 전집의 현황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 〈제1부〉 신재효와 19세기 후기의 판소리
    제1장 신재효와 판소리 지원 활동
    제2장 신재효본 춘향가와 김창환제 춘향가
    제3장 신재효본 흥보가와 김창환제 흥보가
    제4장 신재효본 심청가와 김창환제 심청가

    〈제2부〉 판소리 더늠과 『조선창극사』
    제1장 판소리 더늠의 역사적 이해
    제2장 『조선창극사』소재 더늠의 실상

    〈제3부〉 판소리의 전승과 변모
    제1장 박록주 흥보가의 정립과 사설의 특징
    제2장 제비노정기의 전승 양상

    〈제4부〉 판소리 음반 문화
    제1장 유성기음반과 판소리 사설의 변화 양상
    제2장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음반 전집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