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외교문서로 보는 1970년대 재일한인 시대 표상

    저자 박희영, 이행화, 이정규, 이수경, 소명선, 이재훈, 김선영, 기즈키 나기사
    정가 31000원

상세정보

본 외교문서 연구총서 제2권에서는 법적지위협정 시행기간 동안에 제대로 해결되지 못한 재일한인 문제들이 1970년대 이후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기획하였다.
특히, 사할린 한인 귀환 문제, 재일한인의 법적지위 및 대우 문제, 재일한인의 북송 문제, 조총련계 재일한인 모국방문단, 일본 내 반한단체의 동향, 원폭피해자 문제 등에 관련된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 Ⅰ. 교착상태 속의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와 당사국의 상황 인식
    -1970년∼1979년까지의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70년대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 관련 한국, 소련, 일본의 상반된 인식과 교착상태
    3. 1970년~1975년 외교문서 속의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 사례와 의미
    4. 교착상태 속의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와 1975년~1979년 외교문서 사례
    5. 나가며

    Ⅱ. 1970년대 재일한인 법적지위 및 대우 문제 고찰
    -한ㆍ일 실무자회의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제1차~제2차 실무자회의
    3. 제3차~제4차 실무자회의
    4. 제5차 실무자회의 및 비공식 실무자회의
    5. 일본 정부의 국제인권규약 비준
    6. 나오며

    Ⅲ. 외교문서 속의 1970년대 일본 내 「반한단체」의 동향
    -어느 사회운동가의 기록으로 보는 인권·사상·민주화운동과의 연동
    1. 들어가며
    2. 일본의 「반한단체」와 「혐한단체」의 의미와 배경
    3. 1960~70년대 일본측 운동단체에서 활동한 일본인 S.T씨의 기억
    4. 1973년의 외교문서에 나타나는 「반한단체」의 일례
    5. 다양한 「반한단체」의 성립과 활동 (1950년대~1970년대)
    6. 나가며

    Ⅳ. 외교문서로 보는 한국인 원폭피해자 문제
    -우리 정부의 교섭 과정과 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구호를 호소하는 한국인 원폭피해자의 전달되지 않는 목소리
    3. 원폭피해자의 구호활동과 우리 정부의 대응방식
    4. 도일치료 실현에 이른 과정
    5. 도일치료와 도일치료 중단 이후
    Ⅴ. 조총련계 재일동포 모국방문단
    -외교사료관 소장 외교사료(1975~1979)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모국방문단에 대한 조력자들
    3. 모국방문단과 외교문서
    4. 이후의 모국방문단
    4. 나가며

    Ⅵ.소설과 외교문서로 본 재일한인 북송사업
    -가와사키 에이코의 소설 『일본에서 「북한」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와 1979~1981년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가와사키 에이코의 소설 속 북송: 일본에서 「북한」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
    3. 외교문서(1979~1981)로 본 북송사업
    4. 나가며

    Ⅶ. 사할린 잔류 코리안 「귀환 운동사」
    -일본에서의 당사자·지원자에서 정치·행정 영역으로
    1. 들어가며
    2. 귀환 운동의 시작
    3. 귀환 운동의 시민 운동화
    4. 정치·행정 공간과 운동의 합류
    5.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