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학적 한일관계시론
왜 지역학적 한일관계분석이 필요한가?
일반적으로 한일관계는 국제정치학이나 국제관계론에 의한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에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국가나 정부, 정치지도자가 주로 분석대상으로 등장하는 국제정치학이나, 경제적 상호의존관계의 심화(深化)나 환경적 문제의 대두로 인해 국제정치의 장에 새롭게 등장한 다국적 기업, 국제기구, NGO 등을 분석대상에 포함시키는 국제관계론에 있어서도 한 나라의 외교정책 등을 분석할 때, 일반적으로 왜 그러한 정책이 등장했는지에 대한 국내정치과정이나 국내적 환경은 무시되거나 연구범위에서 제외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것을 연구방법론적으로는 합리적 선택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 국가의 국내정치과정이나 정치사회적 환경, 역사적 배경 등을 눈에 보이지 않는 블랙박스(Black Box)로 처리하는 것은 그 국가의 외교정책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서의 구성은 전체 9장으로 한일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쟁점들과, 한일관계와 연관시켜 검토하는 어프로치를 선택하고 ‘탈냉전기의 한일관계’를 시계열적으로 검토한 후, 한일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쟁점 중 8개의 테마(일본인의 전쟁관, 식민지시대의 유산, 한일협정, 상징천황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참배, 역사교과서문제, 일본의 헌법개정 움직임, 독도문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
책을 내면서
<제1장> 탈냉전기의 한일관계
1. 왜 정치 리더가 중요한가?
2. 탈냉전이 동북아시아에 미친 영향
3. 냉전 종언 후의 변화와 한일관계
4. 탈냉전기의 정치적 리더와 한일관계
5. 외교적 갈등의 ‘구조화’
<제2장> 일본인의 전쟁관과 한일관계
1. 왜 일본인의 전쟁관이 문제인가?
2. 호소카와 총리의 침략전쟁 발언과 ‘이전의 전쟁’
3. 일본인의 전쟁관
4. 한일관계에 미치는 전쟁관의 영향
5. 한일관계에 있어서의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
<제3장> 식민지시대의 유산과 한일관계
1. 왜 식민지시대의 유산인가?
2. 식민지시대의 정치적 ‘유산’
3. ‘살아있는 유산’으로서의 친일파
4. 한국의 경제발전과 식민지근대화론
5. 식민지시대의 유산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제4장> 한일협정과 한일관계
1. 왜 한일협정이 문제가 되는가?
2. 한일회담의 개략
3. 한일협정의 내용과 문제점
4. 한일회담에 대한 반대투쟁
5. 한일협정이 한일관계에 미친 영향
6. 재고(再考)해야 할 한일협정?
<제5장> 상징천황제와 한일관계
1. 왜 상징천황제인가?
2. 상징천황제의 탄생
3. 상징천황제를 둘러싼 논쟁
4. 천황을 통한 국민통합의 딜레마
5. 일본 국민의 입장에서 본 상징천황제
6. 상징천황제의 미래는?
<제6장>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한일관계
1. 왜 일본 총리는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하는가?
2. 야스쿠니신사 문제의 배경
3.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참배
4.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관련된 소송 1
5.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대한 여론
6.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제7장> 역사교과서문제와 한일관계
1. 왜 일본의 역사교과서가 문제인가?
2. 역사교과서가 문제시되는 이유
3. 일본 보수세력의 ‘교과서 공격’
4. ?새로운 역사교과서?의 기본적 발상
5. 역사를 왜곡하는 보수세력 네트워크
6. 역사교과서의 채택률과 일본의 양심세력
7. 역사교과서문제를 보는 관점?
<제8장> 일본의 헌법개정 움직임과 한일관계
1. 왜 일본국헌법 제9조를 개정하려 하는가?
2. 헌법개정 움직임의 대두
3. 헌법개정의 전제조건
4. 헌법개정에 대한 일본국민 여론
5. 헌법개정 움직임이 한일관계에 미치는 영향
6. 헌법개정 이후의 일본은?
<제9장> 독도문제와 한일관계
1. 독도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독도문제의 등장배경
3. 독도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의 주장
4. 독도문제의 미래와 한국의 대응
5. ‘영토내셔널리즘’의 극복을 위하여
책을 마무리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