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역사문화

  • 1920년대 일본의 정당정치 -성립과 쇠퇴의 논리

    저자 김종식
    정가 11000원

상세정보

  • 머리말
    서론

    제1장 정당정치 존립의 논리 -보통선거론의 전개-
    1 명치기의 보통선거론
    1)국체를 전제로 한 보통선거논의
    2)보통선거와 국체의 대립

    2 보통선거운동과 그 논리
    1)보통선거운동
    2)민본주의의 보통선거론

    3 보통선거를 둘러싼 정당과 특권세력의 대응
    1)정당의 대응
    2)특권세력의 대응과 그 논리

    4 소결

    제2장 정당내각 성립과 한계 -보통선거법 제정-
    1 호헌삼파내각의 보통선거법안
    1)정치적인 결과
    2)정부의 보통선거법안

    2 제50회 의회의 보통선거논의

    3 보통선거법의 특징

    4 소결

    제3장 정당정치 비판의 운동과 논리 -관료의 관점에서-
    1 선거의 「부패」구조에 대한 인식
    1)정치교육의 계기
    2)다자와의 총선거출마와 선거부패에 대한 인식

    2 지방자치에서의 당쟁배제와 선거숙정
    1)신일본동맹과 선거숙정동맹회
    2)정치교육론에서 본 지방자치

    3 지방자치론의 형성
    1)지방자치의 구체화와 이론화
    2)지방자치론과 선거숙정운동

    4 소결

    제4장 정당내각 붕괴의 서막 -선거숙청단체의 성립과정-
    1 선거혁정심의회의 성립

    2 정치교육단체에 관료들의 논의

    3 정치교육단체에서 선거숙청단체로

    4 소결

    결론

    보론 정당과 특권세력의 대결 -조선문제를 둘러싸고-
    1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하라 다카시의 대결

    2 추밀원과 정당내각의 대립

    3 정당내각의 문화정치 기반구축

    4 소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