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종교철학

  • 시로 읽는 사찰문화

    저자 김갑기
    정가 45000원

상세정보

-문화공간으로서의 사찰

 

"詩로 읽는 寺刹 문화"는 ‘문화공간으로서의 사찰’을 새롭게 인식하고자 작은 정성을 모았다. 사찰(寺刹)은 불자(佛子)의 수도(修道) 도량(道場)일 뿐만 아니라, 생활공간이다. 그것이 생활공간인 이상 불자 고유의 생활문화가 향유된 문화공간임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일 터이지만, 왠지 낯설기만 한 것 또한 현실이다. 문화유산은 사찰이 소유하고 있지만, 사찰 고유의 자산이 아니다. 민족의 문화유산인 것이요, 함께 향유할 값진 보배인 것이다. 그 중 특히 사찰 및 불사(佛事)와 관련된 시를 사찰제영시라 하고 이를 중심으로 사찰의 그 고격(高格)한 문화를 바르게 이해함은 물론, 한국문화, 나아가 민족정서로서의 불교문학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를 제고하고자 한다.

 

  • 가야사 주지스님의 시운을 따라 짓다. 3수
    次伽倻寺住老詩 三首 柳 淑
    가지사에서
    伽智寺 金克己
    가지사 현판시운을 따라 짓다
    迦智寺板上韻 金臺卿
    각림사에서
    覺林寺 卞季良
    감로사에서 혜원의 시운을 빌어쓰다
    甘露寺次惠袁韻 金富軾
    감로사에서
    甘露寺 李堅幹
    감로사에서
    甘露寺 鄭以吾
    강서사에서
    江西寺 閔思平
    강서사에서
    江西寺 鄭 樞

    ***

    낙산사에서
    洛山寺 金克己
    낙산사에서
    洛山寺 金富儀
    낙산사에서
    洛山寺 釋益莊
    낙산사에서
    洛山寺 安 軸
    낙산사에서
    洛山寺 鄭 樞
    남태사에서
    南泰寺 金克己
    내원당 대선사 구곡운공이 임금으로부터
    서화시권 받은 것을 시로 축하하며
    內願堂大禪師龜谷雲公 蒙御筆普賢達磨肖像二卷 李崇仁
    龜谷覺雲四大字, 以詩爲賀 三首
    조계종 내원당 구곡각운 선사의 어서화를 제하여 쓰다
    內願堂題曹溪龜谷覺雲禪師御書畫詩卷 李仁復

    ***

    황룡사 우화문에 쓰다
    書皇龍寺雨花門 崔鴻賓
    *崔 滋 : 「황룡사 우화문皇龍寺 雨花門」<補閑集>
    회사 고봉에서
    回寺 高峰 李 穡
    회암사에서
    檜巖寺 成 任
    흥룡사에서
    興龍寺 未 詳
    *杜 甫 : 「강남봉이구년 江南逢李龜年」
    흥룡사에서
    興龍寺 釋 圓鑑
    흥왕사에서
    興王寺 成 任

    ***

    옛 절에서 꽃을 찾다
    尋花古寺 月山大君
    *鳳月亭 : 「님에게 부치다 奇人」
    *醒狂子 : 「운계사 雲溪寺」
    눈 내린 산사의 밤
    山中雪夜 李齊賢

    * 인명
    * 「작품」 및 「도서」
    * 일반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