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종교철학

  • 한국유교와 타종교

    저자 금장태
    정가 23000원

상세정보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어느 시대에도 홀로 있었던 일이 없었다. 유교는 성립단계에서부터 언제나 다른 종교와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고 대립하여 갈등을 일으키면서 그 위치와 성격을 정립하여 왔다. 공자는 노자를 찾아가 도(道)를 물었다 하고, 유가(儒家)와 묵가(墨家)는 일찍부터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니 「논어」 위정(爲政)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 한 구절 “攻乎異端, 斯害也已”는 유교전통에 한가지 의미깊은 숙제를 던져주었다. 이 구절을 주자는 “이단을 ‘전공’(攻)하면 해로울 따름이다”라고 풀이하여, ‘이단’에 대한 거부의 입장으로 해석하였지만, 이와 달리 “이단을 ‘공격’(攻)하면 해로울 따름이다”라고 포용적 입장으로 해석하는 정반대의 견해도 있다. 곧 여박사(呂博士: 藍田 呂大臨)는 “이제 사설(邪說)이 정도(正)를 해치는 것을 미워하여 공격한다면 단지 스스로 가리워지는 것일 뿐이다”(今惡邪說之害正而攻之.則適所以自?而已)라고 하여, ‘전공’(攻)이 아니라 ‘공격’의 뜻으로 해석하였고, 주자 자신도 「답왕상서서」(答汪尙書書)에서 자신의 견해와 상반된 여박사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공자의 ‘이단’에 대한 입장은 ‘전공’하지 말라는 배타적 입장인지 ‘공격’하지 말라는 포용적 입장인지 단정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조선후기의 실학파 유교지식인들 가운데는 도학의 독선적 폐쇄성에 대해 절실하게 성찰하고 비판하였던 인물이 있었다. 조선후기 실학은 개방적 포용성을 발휘하면서 현실문제에 대한 합리적 개혁을 추구함으로써 도학이념의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조선전기에 도학이념의 유교가 융성하였던 사실은 불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를 비판하는데서 이룬 것이 아니라, 도학정신을 시대정신의 이상으로서 발휘하는데서 가능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에 도학이념이 쇠퇴하였던 사실은 다른 종교 내지 다른 사상에 대한 배타적 폐쇄성에 빠지면서 자기변혁의 기회도 잃었기 때문이라 하겠다. 그만큼 유교가 다른 종교와 사상에 대해 배타적이었는지 개방적이었는지는 유교이념의 성쇠에 연결되는 것이요, 조선사회의 성쇠와도 직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유교와 타종교’라는 이 책의 주제는 바로 조선시대에 도학이념의 유교가 불교·도가·제자백가·서학 등 다른 종교와 만남에서 얼마나 폐쇄성과 개방성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동시에 불교와 천주교가 유교사회에서 어떻게 적응하거나 충돌하였는지를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유교와 타종교의 만남을 통한 상호 교류와 갈등의 성격과 한계를 이해한다면, 바로 오늘의 현실에서 종교간의 이질감과 대립의식을 해소하고 갈등을 넘어 조화로 가는 길을 찾을 수 있는 지혜와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본다.
 
1장. 조선전기 불교의 유교인식 --기화(己和), 설잠(雪岑), 보우(普雨), 휴정(休靜)의 삼교조화론(三敎調和論)

  • 1. 조선전기 불교의 삼교조화론이 지닌 성격
    2. 「현정론」의 삼교조화론과 호불(護佛)변론
    1) 기화(己和)의 삼교조화론과 불교우위론
    2) 기화(己和)의 불교비판에 대한 호교론
    3.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의 삼교대비와 불교우위론
    1) 삼교(三敎)대비를 통한 불교우위론
    2) 유?불대비를 통한 불교우위론
    4. 설잠(雪岑)의 삼교인식과 유․불병행론
    1) 유교 정통론의 도교․불교 비판
    2) 세도(世道)를 통한 유․불병행론
    5. 보우(普雨)의 유불동조론
    1) 충효의 강조와 유불동조론
    2) 유불화합의 동조론과 성리학적 이해
    6. 휴정(休靜)의 삼교회통론과 유교인식
    1) 삼교회통론과 불교자성론(自省論)
    2) ‘심’개념의 인식과 삼교회통론
    7. 조선전기 불교의 삼교조화론이 지닌 의미

    2장. 조선후기 유교의 「장자」(莊子)이해 --한원진(韓元震)의 「장자」해석과 비판논리
    1. 조선후기 유학자의 「장자」해석의 성격
    2. 「장자」 ‘내편’의 구조와 문체의 이해
    1) 「장자」해석의 저술 동기와 입장
    2) 「장자」 ‘내편’의 구조에 대한 인식
    3. 장자의 ‘도’개념에 대한 인식
    1) ‘도’의 본체에 대한 인식
    2) ‘도’의 양상에 대한 인식
    4. 장자의 심(心)과 지(知)에 대한 인식
    1) 장자 ‘심’개념의 이기론적 해석
    2) ‘지’(知)․‘언’(言)․‘시비’(是非)에 대한 인식
    5. 장자의 ‘양생’․‘처세’․‘치도’에 대한 인식
    1) ‘양생’과 ‘처세’에 대한 인식
    2) ‘치도’에 대한 인식
    6. 한원진의 성리학적 「장자」해석의 의미

    3장. 조선후기 유교의 제자백가 인식 --신후담(愼後聃)의 「팔가총평」(八家總評)을 중심으로
    1. 신후담에서 제자백가에 대한 관심의 문제
    2. 조선시대 유학자의 제자백가에 대한 관심
    3. 신후담의 제자백가 인식의 입장
    1) 「팔가총평」(八家總評)의 저술배경과 체계
    2) 제자백가 인식의 입장
    4. 유가류와 도가류의 인식
    1) 유가와 유가류의 분별
    2) 노장과 도가류의 인식
    5. 제자백가의 인식
    1) 법가(法家), 명가(名家), 묵가(墨家)류의 인식
    2) 종횡가(縱橫家), 잡가(雜家), 병가(兵家)류의 인식
    6. 신후담의 제자백가 인식이 지닌 의미

    4장. 18세기 유교지식인의 천주교신앙 수용 --윤지충․권상연의 천주사상과 영혼관
    1. 18세기 유교지식인의 천주교신앙 수용과 윤지충․권상연의 위치
    2. 성호학파 유교지식인의 천주교신앙 수용배경
    3. 윤지충, 권상연의 ‘천주’사상 --‘상제’신앙과 ‘천주’신앙의 거리
    4. 윤지충, 권상연의 영혼관과 천당지옥설
    5. 윤지충, 권상연의 폐제분주(廢祭焚主)사건과 신앙적 성격
    6. 윤지충, 권상연의 천주교신앙 수용이 지닌 의미

    5장. 19세기 한국성리학의 시대인식과 서학(西學)․서세(西勢)에 대한 대응
    1. 한국사상사에서 19세기 성리학의 위치
    2. 사회내부적 변동과 대응
    3. 심설(心說)의 쟁점과 학파의 분화
    1) 기호(畿湖)학파의 분화와 쟁점
    2) 영남(嶺南)학파의 분화와 전개
    4. 서학(西學), 서세(西勢)에 대한 비판과 배척론
    1) 서학에 대한 비판이론
    2) 서세(西勢)에 대한 배척과 저항의 의리
    5. 19세기 성리학의 사상사적 의미

 

6장. 명말(明末) 불교-천주교의 교리논쟁

1. 명말(明末) 불교-천주교 교리논쟁의 성격

2. 명말(明末) 불교-천주교 교리논쟁의 전개

3.『천주실의』에서 마테오 리치의 불교비판

4. 주굉(袾宏)의 천주교비판에 대한 천주교의 재비판

5. 지욱(智旭)선사의 유교적 입장에서 천주교비판

6. 명말 불교-천주교 교리논쟁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