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한국종교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한 것은 1970년대 이후인데, 그때부터 최근까지 이어 온 연구의 기본 시각은 일제의 조선침략이라는 상황 속에서 ‘민족종교’에 대한 탄압과 해체의 고통을 겪었다고 하는 이항대립(二項對立)의 구도였다. 물론 이러한 양상이 근대를 통해 반복적으로 지속되어 왔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으나, 한편으로 이처럼 고착화된 이원적 구도는 일제강점기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활동했던 일본계 종교들의 존재와 활동, 이들이 한국종교계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는 논의의 필요성조차 제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서는 일제강점기 한국사회에 유입된 일본계 종교들이 특정 거점에서부터 각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해 가는 과정 속에서 과연 이들이 어떠한 종교적 특성을 표출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종교학계에서 추구해왔던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과거 연구자들에 의해 외면되거나 봉인되어 있던 종교의 영역으로 시야를 확장함으로써 근대종교 연구의 기초를 공고히 하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 〈제1부〉 근대 일본계 종교의 조선 포교 양상
제1장 일제강점기 교파신도의 조선포교 양상 연구 -『조선총독부관보』(1911~1945) 기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분석과 「관보」‘일본계 종교’ 현황
3. 일제강점기 교파신도의 조선포교 전체 양상
4. 각 교파별 조선포교 양상
5. 나가며
제2장 일본불교의 조선포교 검증
1. 들어가며
2. 일본불교 종파 조직의 기본구조
3. 일본불교 아시아 포교의 전개 과정
4. 일본불교 각 종파의 아시아 포교 동향
5. 조선포교의 전개
제3장 일본불교의 조선포교 양상과 종교시설 현황 -1894~1910 진종본원사파(眞宗本願寺派)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본원사파의 조선포교 개시
3. 본원사파의 조선인 대상 포교
4. 본원사파의 1910년까지 종교시설 현황
5. 나가며
제4장 일본계 기독교의 조선전도 양상 연구 -『조선총독부관보』(1911~1945) 기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계 기독교의 조선전도 전체 양상
3. 각 교파별 조선전도 양상
4. 나가며
제5장「조선총독부종교관련문서」의 전체상과 일본불교사원 창립에 관하여
1. 들어가며
2.「조선총독부종교관련문서」에 대해
3.「신사사원규칙」의 시행
4. 일본불교사원의 창립에 관해서 -목포 일련종 통조사 창립원을 사례로
5. 나가며 -「조선총독부종교관련문서」의 활용과 전망
〈제2부〉 일본계 종교의 조선 내 지역 포교와 그 영향
제6장 신궁봉재회의 다중성과 한국인의 맥락적 반응 -신궁봉경회ㆍ신궁경의회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변형과 구성: 신궁교회, 신궁교, 신궁봉재회
3. 포교와 위상: 신궁교와 신궁봉재회
4. 선택적 반응: 종교적 맥락과 정치 경제적 맥락
5. 나가며
제7장 일제강점기 흑주교(黑住敎)의 조선포교 양상 연구
1. 들어가며
2. 흑주교의 창교와 18세기 후반의 ‘조선’ 포교
3. 해외포교 및 조선포교의 필요성 제기
4. 조선포교 공식화 과정
5. 조선포교 공식화 이후의 포교 방향
6. 나가며
제8장 일제강점기 충남불교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
1. 들어가며
2.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동향과 충남불교
3. 충남지역에 있어서 일본불교의 침투 현황과 특징
4. 나가며
제9장 조선교회의 자립과 자치 담론 다시 읽기 -1910년대의 일본조합교회 포교와 최중진의 자유교회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아메리칸 보드의 일본전도와 전도방침
3. 아메리칸 보드로부터의 독립과 조선전도
4. 일본조합교회의 조선전도와 자유교회
5. 최중진과「자유교회」
6. 최중진의 자유교회 활동
7. 자유교회의 일본조합교회 가입
8. 최중진의 조합교회에서의 활동
9. 나가며
제10장 일제강점기 일본 조동종의 한반도 포교 과정과 성격
1. 들어가며
2. 조동종의 한반도 포교 과정
3. 조동종의 교세
4. 조동종과 정치권력
5. 조동종의 한반도 포교의 성격
6. 나가며
참고문헌 / 원고 초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