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종교철학

  •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과교육론

    저자 고병철
    정가 35000원

상세정보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과교육론』은 다양성과 공공성의 관점에서 종교 교과교육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을 맥락과 담론을 통해 전반적으로 서술한 책이다. 일제강점기의 종교교육과 해방 이후의 종교교육,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전망과 향후의 대안 등을 들어 종교교육 문제와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종교 교과교육의 역사, 제반 사항 등을 살펴본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의 종교교육과 해방 이후의 종교교육,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전망과 향후의 대안 등을 들어 종교교육 문제와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종교 교과교육의 역사, 제반 사항 등을 다양성과 공공성의 관점에서 종교 교과교육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을 맥락과 담론을 통해 전반적으로 서술한 최초의 연구서라고 평할 수 있으며, 제4차 교육과정에 종교 교과가 신설되었었지만 종교 수업은 그 이전처럼 여전히 ‘특정 종교를 위한 교육’ 즉, ‘특정 신앙인 만들기’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고, ‘특정 종교를 위한 교육’이 아닌 ‘종교 교과교육’을 위해선 교육학 연구자와 종교학 연구자들이 서로의 탐구 영역에 관심을 갖고 학문적 논의를 확대ㆍ심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논하고 있다.

 

  • Ⅰ. 들어가면서
    1. 종교 교과교육의 정체성 혼란
    2. 종교 교과교육의 사회이슈화
    3. 통시적 성찰의 필요성
    4. 주요 내용의 구성
    5. 주요 개념의 이해

    Ⅱ. 일제강점기의 종교교육
    1. 통감부ㆍ총독부의 종교교육 정책
    2. 종립학교의 종교교육
    3. 종교교육 담론 분석
    4. 특징과 과제

    Ⅲ. 해방 이후의 종교교육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변천
    2. 종립 중등학교의 종교교육
    3. 종교교육 담론 분석
    4. 특징과 과제

    Ⅳ. 중등학교 종교 교과교육의 전망
    1. 종교 교과교육과 신앙교육론
    2. 종교 교과교육과 인성교육론
    3. 종교 교과교육과 영성교육론
    4. 종교 교과교육과 종교학교육론
    5. 종교 교과교육과 성찰적 교양교육론
    6. 종교 교과교육의 방향: 다양성과 공공성의 관점

    Ⅴ. 나오면서